우기 작업자 안전사고 우려
멸종위기종 서식 위협 지적

지난달 준설 작업 중인 갑천에서 기자회견하는 시민단체.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달 준설 작업 중인 갑천에서 기자회견하는 시민단체.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대전환경단체들이 대전시가 진행 중인 하천 준설을 중단하고 생태계를 복원하라며 목소리를 냈다.

3일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지난 20일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지만 시는 42억원을 들여 하천준설을 강행하고 있다”며 “호우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준설은 오히려 멈추지 않고 속도를 더 내고 있다. 우기에는 강우 패턴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도 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준설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요구했지만 시는 답하지 않고 준설을 강행했다”며 “게다가 지금은 하천의 야생생물들이 대부분 번식하는 시기인데 번식기간에 야생생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는 준설은 번식이 아닌 멸종을 부추기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대전천 준설구간인 대전천~대동천 합수부는 도심 하천 중 수달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구간인데 이번 준설로 파괴되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단체는 “갑천 준설구간인 원촌교 하류의 대규모 모래사장은 멸종위기종인 노랑부리저어새, 참수리, 흰꼬리수리, 큰고니의 쉼터이지만 이번 준설로 모두 사라졌다”며 “시는 감돌고기가 잘 살 수 있는 하천을 만든다며 2019년부터 3년간 2500마리의 어린 물고기를 방류하는 행사를 하기도 했지만 준설로 서식지를 파괴해 죽이는 이중적인 행태에 치가 떨린다”고 꼬집었다.

이어 “시는 야생동물 보호법에 근거해 멸종위기종을 보호할 책무가 있지만 근거도 없고 제대로 된 조사도 없이 진행하는 준설로 책무를 저버리고 직권을 남용했다”며 “전 세계는 기후위기로 다가올 대멸종의 시대를 걱정하며 대응하고 있다. 자연성 회복과 복원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언급하는 마당에 멸종위기종을 죽이는 행정은 이제 끝장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