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중간점검-반환점 도는 힘쎈 충남> 1 미래먹거리 발굴을 위한 ‘경제’
투자유치 19조 3688억… 20조 돌파 눈앞
출범 2년 만에 민선 7기 4년 성과 넘어
실질적인 경제 효과 연결 과제로 남아
농어업·농촌 ‘돈 되는 산업’ 변화 강조
스마트팜 825만㎡·청년농 3000명 목표
양적·질적 목표 달성 여부는 ‘미지수’

▲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12일(현지 시각) 네덜란드에서 ‘글로벌 아시아스마트팜혁신센터 운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2022년 7월 1일 ‘힘쎈충남’이라는 슬로건으로 출범한 충남도 민선 8기가 전반기 2년을 마치고 후반기에 접어든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취임 직후 충남 발전을 위한 혁신과 함께 특유의 추진력을 보이면서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와 후반기에 마무리해야 할 숙원사업도 남아 있다. 충청투데이는 ‘힘쎈충남’ 출범 2주년을 앞두고 경제, 문화, 복지, 균형발전 등 분야별 성과와 후반기에 풀어야 과제를 짚어본다. <편집자 주>

 

‘힘쎈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도정 운영의 비전으로 삼은 김태흠 충남도정은 ‘힘차게 성장하는 경제’를 민선8기 5대 목표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코로나19 이후 침체에 빠진 대·내외 경제 상황 속에서도 미래 전략 산업 발굴·육성, 기업 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으로 충남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김 지사는 지난해 4월 도지사 결재권의 절반을 부지사와 실·국장에게 위임하겠다고 발표했다.

도정은 행정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자신은 3선 국회의원 출신의 정치력과 특유의 추진력을 살려 국비 확보나 투자유치 등에 집중하겠다는 결단이었다.

이후 김 지사는 국내 기업 139곳과 15조 6532억원, 24곳의 외국 기업으로부터 외자유치 2780만달러(3조 7156억원, 지난 13일 기준) 등 총 19조 3688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거뒀다.

불과 2년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이미 민선7기 4년간의 투자유치 금액의 133%에 달하는 실적을 낸 것.

충남의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하며 적극적인 세일즈에 뛰어든 김 지사와 민선8기 충남도정의 대표적인 성과로 꼽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투자유치는 MOU 체결 이후 공장 가동까지 최소 2~5년 이상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사후관리가 더 중요하다.

협약을 체결한 139곳 기업 중 54곳(38.8%)은 투자준비 단계에 머물러 있고, 2022년 투자를 약속한 국내기업 1곳은 경제 상황 변화 등을 이유로 투자를 포기했다.

이들 기업이 충남에 뿌리를 내려 실질적인 경제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남은 과제다.

민선8기 충남도정이 또 다른 역점 사업으로 지목한 것은 농어업·농촌 재구조화다.

2021년 기준 충남의 농림어업 종사자는 17만 7000여명으로, 도내 경제활동인구 119만 3000여명의 14.8%나 차지하고 있는 반면 산업 내 비중은 4.6%에 불과하다.

김 지사는 고령화, 영세한 농어업·농촌을 살리기 위해선, 소위 ‘돈 되는 산업’을 도입하고 청년들을 끌어들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김 지사는 ‘스마트 팜’에 주목, 수차례에 걸쳐 임기 내 "스마트팜 825만㎡(250만평) 이상을 조성하고, 청년농 3000명을 유입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말 기준 도내 스마트팜 운영 농가는 634명, 경지면적은 95만평 수준으로 2년동안 312명, 45만평 증가하는데 그쳤다.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전문교육은 지난 2년간 1781명이 수료했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은 단기 기술교육, 체험 등 스마트팜을 운영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는지는 의문이다.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으로 임기 내 공약 달성은 물론 농업·농촌 재구조화 계획은 빨간불이 들어온 셈이다.

남은 2년동안 농업·농촌 재구조화의 성패는 경지 확보, 스마트팜 전문인력·청년농 유입 성과에 달려있는 것이다.

이 경우 양적 목표 달성에만 치우치면 질적 저하의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개혁하는 과제는 ‘성과주의’에 매몰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는 만큼 수정·보완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도 관계자는 "민선8기 주요 경제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현재 농촌 상황에서 스마트팜을 위한 부지확보, 설비 도입, 청년농 육성 등은 일정 수준 이상 감당하기 어렵다. 목표치를 낮추더라도 내실있는 사업 추진이 장기적으로 효과가 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