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지정 민방위 대피시설 437곳
비상용품 구비·안내·관리 등 ‘부실’
그마저도 자물쇠 잠겨 사용 어려워
이동약자 이용가능 시설도 태부족
[충청투데이 장예린 기자] 최근 남북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비상시 대피할 수 있는 민방위 대피시설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대피소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부족하고, 비상용품 구비 등 대피시설 관리가 부실하기 때문이다.
청주시 청원구에 거주하는 A 씨는 최근 한반도 내 갈등이 깊어지자 불안한 마음에 대피소를 찾아봤다.
A 씨는 "북한이 계속해서 도발을 하고 있어 비상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대피소를 찾아봤다. 그런데 지하주차장이 지정돼 있어서 놀랐다"며 "협소한 지하주차장이 대피소가 될 수 있는게 믿겨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곳에는 대피소에 있어야할 비상용품함도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 없다"며 "이름만 대피소지 비상용품 구비나 안내, 관리 등 모든 부분에서 열악해 보인다"고 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르면 관공서의 지하층과 아파트 지하주차장, 지하차도, 지하상가 등 충북도내 지정된 민방위 대피시설은 모두 437곳이다.
지역별로는 청주 231곳, 충주 41곳, 제천 33곳, 진천 30곳, 음성 22곳, 단양 17곳, 증평 15곳, 영동 14곳, 옥천 13곳, 보은 12곳, 괴산 9곳 등이다.
일부 시민들은 이동약자들이 비상시 이용가능한 대피시설도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도내 민방위 대피시설의 52%를 차지하고 있는 청주시의 경우 휠체어리프트와 경사로, 환자용 들것, 접이식 이동경사로 등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과 물품이 구비돼있어 이동약자 이용가능시설로 구분돼 있는 대피시설은 74곳뿐이다.
몸이 불편해 전동휠체어를 이용한다는 B 씨는 "집 주변에 휠체어를 타고 갈 수 있는 대피소가 없다. 전쟁이나 비상상황시에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대피시설 내 비치된 비상용품함에 대해서도 시민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구급함과 가스마스크, 손전등, 라디오 등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용품이 들어있는 비상용품함이 모두 자물쇠로 잠겨있어 위급상황 때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상당구에 거주하는 C 씨는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것이 비상용품인데 자물쇠로 다 잠겨져있어 제때에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비상용품함을 잠궈놓는 것에 대해 법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며"분실과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비상용품함을 잠궈놨다. 비상용품함에 담당자의 연락처가 적혀있어 위급상황시 담당자와 통화하면 비밀번호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마저도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기만 하다.
D 씨는 "전쟁이 나면 가장먼저 통신이 끊길 텐데, 대피소가 한 두 곳도 아니고 위급상황에서 담당자가 전화를 받고, 비밀번호를 알려줄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보다 실용적인 조치가 필요해보인다"고 전했다.
장예린 기자 yerinis683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