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여야의 제22대 총선 충청권 공천 작업이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각 당의 현역 의원 평가가 선거판의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 평가 결과를 두고 당 내 파열음이 커지고 있는 데다 향후 현역 의원을 대신할 새 얼굴의 등장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
22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최근 공천 작업을 진행 중인 여야의 현역 평가와 관련, 일부 충청권 의원들은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4선의 이명수 의원(국민의힘, 충남 아산 갑)은 전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스템 공천이라고 하는 틀 속에서 비롯된 지역 민의를 간과하는 과오가 남겨지지 않았으면 한다"며 공천관리위원회에 경선을 요구했다.
이는 현재까지 이 의원이 대전과 충북, 충남 현역 의원 중 유일하게 공천 심사 결과를 받지 못한 만큼 컷오프(공천배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국민의힘 공관위는 지난달 공천 심사 방안 중 하나로 현역 의원의 평가를 위한 교체지수(당무감사 결과 30%+공관위 주관 컷오프 조사 결과 40%+기여도 20%+면접 10%)를 발표했다.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에서 하위 10% 이하에 해당하는 의원은 공천 원천 배제, 하위 10~30%는 경선 득표율에 -20%가 적용된다.
이중 대전과 충북, 충남은 2권역으로 묶였는데 대상자인 총 11명의 현역 의원 중 1명은 컷오프 되고, 2명은 경선에서 득표율이 20% 깎이는 조정지수를 적용 받는다.
만약 이 의원이 하위 10% 이하에 해당한다면 22대 총선에는 나설 수 없게 된다.
여기에 최근 현역 의원 하위 평가를 통보받은 일부 민주당 의원도 직접 자신의 평가 공개를 공개하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초선의 박영순 의원(민주당, 대전 대덕구)도 전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공관위 결정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면서 "이재명 사당의 치욕스러운 정치보복에 맞서 의연히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 공천에서 현역 하위 10%에는 경선 득표의 30%, 하위 10∼20%는 20%를 각각 감산하는 페널티를 적용한다.
이와 관련,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현역 의원들의 공천 여부에 충청권 선거 구도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다만 인적 쇄신 차원에서 현역 의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누구나가 인정할 만한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