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 대비 농업경영비 많이 들고 경지면적 작은 소규모 농업인 많은 탓
스마트팜·청년농 육성 위한 경지면적 확보, 수익성 높은 품목 재배 필요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과 충북지역 농가소득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경영비가 타 시도에 비해 많이 들고, 인당 경지면적이 작은 소규모 농업인들이 많은 탓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민선 8기 충남도의 3대 역점사업 중 하나인 농업·농촌의 구조개혁과 스마트팜·청년농 육성을 위해서는 농가당 경지 면적 확대, 단위면적당 수익성이 높은 품목을 재배하도록 이끄는 정책이 요구된다.
11일 KOSIS(국가통계포털)의 ‘농가소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 농가의 평균 소득은 4615만원으로 집계됐다. 충남은 4548만원, 충북은 4156만원으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충남의 농업총수입(3635만원)과 농업소득(991만원)은 전국 평균 3460만원·948만원을 상회했지만 농업경영비(2643만원)가 전국 평균(2511만원)을 훌쩍 넘었기 때문이다.
인건비나 비료·사룟값 등 농업 생산에 드는 비용이 많이 든 탓에 농가의 실질 소득이 줄어든 것이다.
또 경지면적이 작은 소규모 농업인이 많은 점도 평균 소득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실제 경지면적이 0.5㏊ 미만 농가의 평균소득은 4042만원에 불과한 반면 0.5~1.0㏊미만은 4324만원, 1.0~1.5㏊ 미만은 4411만원, 1.5~2.0㏊ 미만은 5070만원으로 경지면적이 넓을수록 평균소득이 상승했다. 하지만 경지면적이 2.0~3.0㏊인 경우 4313만원으로 급감했다.
민선 8기 ‘힘쎈충남’의 3대 역점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팜·청년농 육성을 위해서는 농가당 1.5~~2.0㏊ 정도의 경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이 필수적인 셈이다.
영농형태별 평균소득은 논·벼(3156만원), 채소(3623만원), 특용작물(2709만원), 일반 밭작물(2848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축산(6303만원), 기타(6629만원)은 평균을 크게 넘었다.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경지면적 확보와 재배 품목 선정이 도의 농업 정책 성패를 가를 수 있는 것이다.
오진기 도 농림축산국장은 "농업·농촌의 구조개혁과 스마트팜 육성 등을 위해 도는 전년대비 15% 이상의 예산을 증액했고, 전문 교육과 금융, 시공지원, 컨설팅 등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탄소중립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조성, 청년농업인 인큐베이팅 교육연구센터·충남 글로벌홀티컴플렉스(CCHC) 설립 등 충남을 스마트농업의 메카로 만들어 농가 소득 증대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