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중심 충북 성장 견인차 역할
인력·기능강화 기업 실질적 지원 필요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충북지역 첨단산업의 핵심기지로 자리매김한 오창과학산업단지 입주기업 지원 활성화를 위해 오창산단관리공단 정상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창산단은 지리적 이점과 첨단산업 집적화 등 입지적 강점을 갖추고 있어 일반기업과 벤처기업, 연구기관, 외국인기업 등 모두 180여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충북지역 수출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방사광가속기 구축에 이어 이차전지 분야 국가첨단전략특화전지로 지정되는 등 국가 차원에서도 전략적 산단으로 육성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오창산단 입주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종 지원활동 담당 기관인 오창산단관리공단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서 입주기업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오창산단관리공단은 2005년 5월 설립 이후 충북도로부터 오창산단 관리업무를 위탁받아 업무를 수행해 왔으나,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단순 지원 업무 외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더욱이 충북도와 갈등으로 2020년 11월 오창산단 관리업무 위탁계약 해지가 결정되면서 2021년부터는 겨우 명목만 유지한 ‘식물기구’로 전락했다.
당시 한영희 이사장과 충북도의 갈등으로 전무이사가 취임 6개월만에 쫓겨나다시피 사퇴한 데 이어 이사와 감사 등 13명이 전원 사퇴하면서 법인 해산 우려까지 제기됐었다.
이후 임기 종료에 따라 이사장이 교체되고 이사와 감사 등도 새로 선임된 데 이어 지난 5월 충북도와 관리업무 위수탁 계약도 다시 체결하면서 정상화를 꾀하게 됐다.
하지만 실무업무를 총괄해야 할 전무이사와 본부장 등이 공석으로 있는 등 인력부족으로 역할 정상화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업무공백을 막기 위해 충북도에서 파견됐던 공무원 2명이 복귀하면서 현재 차장과 과장 등 2명의 직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입주기업 지원을 위한 혁신지원센터가 내년 말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관리공단 정상화가 지연될 경우 지원센터의 업무 영역 확대로 입지가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원센터는 청년 산업육성과 첨단기술기업 입주 지원, 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등을 위한 시설로, 산학협력 지원·신산업 창출 지원, 창업·벤처 보육, 등의 역할을 통해 입주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구조 고도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같은 역할과 기능 면에서 산단관리공단과 중복될 수 있는 데다 시설과 인력 면에선 우위를 점할 경우 산단관리공단이 존폐 위기로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산단관리공단은 법적 근거로는 비영리 사단법인이지만, 충북도·청주시 등과 유기적 협력관계 구축없이 독자적 운영이 어렵다는 점에서 충북도와 발전적 협력관계 강화도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문인력 확충과 입주기업 지원업무 확대는 물론 충북도·청주시 등과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조속한 정상화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