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상주 외국인 경제활동참가율 70.7%·고용률 68.2%… 타 권역 보다 높아
고용정보원, 거주 요인 연구 필요 조언 "사회·문화적 갈등 최소화 방안 마련해야"

한 고용센터에서 고용허가업무를 보는 외국인. 사진=연합뉴스.
한 고용센터에서 고용허가업무를 보는 외국인.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충청권 외국인 경제활동참가율이 전국 상위를 차지한 가운데 이민자의 이주 배경 등 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이민이 한국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를 보면, 충청권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경기도 다음으로 높았다.

2021년 5월 기준 경기도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73.1%, 고용률 69.3%로 전체 권역 중 가장 높았다.

동기간 대전·충남·충북·세종의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의 경제활동참가율(70.7%)과 고용률(68.2%)도 다른 권역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충남의 경우 고용허가제 사업장 수와 외국인 근로자가 전국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충남지역 2021년 4분기 고용허가제 사업장 수 비중은 전체의 7.5%, 외국인 근로자 비중도 8.7%로 경기와 경남에 이어 상위권에 올랐다.

특히 충남은 일할 수 있는 30세 미만 상주 이민자의 비중이 2021년 기준 1.48로 전체 시·도 중 가장 높았다.

30~60세 미만에서도 충남과 충북이 상위권, 그중에서도 베트남 국적의 상주 이민자가 많은 편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이주 배경 취업자의 차이도 두드러졌다.

근무 지역이 대전·세종·충북·충남인 이주 배경 취업자 가운데 광·제조업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62.1%에서 2021년 55.6%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건설업(2019년 6.2%, 2021년 8.6%)과 농림어업(2019년 8.3%, 2021년 10.6%)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늘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번 연구보고서에서 효과적인 이민 정책 수립·시행을 위해선 이민자의 거주지역 결정요인이나 국내 이동 등에 대한 인식 연구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새봄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연구보고서에서 "정부의 이민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이민정책의 설계 과정에서 취업 관련 체류자격을 소지한 외국인과 더불어 취업 활동 이외의 목적을 가지고 국내에 입국해 거주 중인 외국인과 귀화자, 외국인 주민의 자녀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이주 배경 인구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하다"며 "이민 인구의 유입은 국내 노동시장뿐 아니라 사회·문화 전반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민 인구의 유입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