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예술 정책 시행 1년 토론회 열려
지역 예술 생태계 현황 분석·개선점 논의
시립·시민예술단 신인 위한 발판 역할 중요
‘과학문화도시’ 연계 발전방안 모색해야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민선8기 대전문화예술 정책 시행 1년을 맞아 지역 문화예술계가 일류 문화도시 대전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들은 문화예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예술인 실태조사 및 정주환경 개선 필요성에 공감했다.
7일 대전문화원연합회는 대전예술가의집에서 ‘대전문화예술정책 토론광장’을 개최해 대전 예술 생태계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광장에는 한상헌 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 도완석 대전예술포럼 대표, 장인식 우송정보대 교수, 라영태 대전미술협회장이 패널로 참석해 토론을 진행했다.
발제를 맡은 한상헌 대전세종연구원 실장은 민선 8기 대전시 문화정책 기조 분석과 앞으로의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한 실장은 사회적 이슈인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문화예술 현장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소외 받는 장년층, 고령층의 문화소비가 강조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다만 이를 뒷받침할 문화예술정책은 미흡하다고 비판하며 대전에도 ‘액티브 시니어’를 타겟으로 한 정책 마련을 강조했다.
이어 전국 평균과 비교했을 때 지역 내 머무르는 창작 예술인보다 유출되는 예술인이 많은 점을 문제로 꼽았다.
그는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 지속성을 위해선 대전의 예비 예술인을 계속 머무르게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예술 전공생들의 발판이 될 시립예술단, 시민예술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청년·중견·원로 등 세대별 예술인 지원에 대해선 ‘단체 부문’의 실효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한 단체 내에서 소속자의 생애주기를 산정해 지원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지 반문하며 지원 기준이 모호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대안으로는 대전 내 예술인 실태를 전문, 아마추어로 구분 해 정확히 파악하고 각 예술인의 장점을 부각할 수 있는 과감하고 특화된 예술지원사업 등을 제시했다.
또 대전의 정체성인 ‘과학문화도시’가 정착될 수 있도록 예술인, 공간, 재원·스폰서십, 예술시장의 발전을 키워드로 뽑아 이들의 균형감 있는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화예술 발전의 시작은 결국 예술 생태계 파악과 정비”라며 “이후 플랫폼 구축으로 예술인 참여와 활동 활성화, 스폰서십 기능 확대, 온라인 예술마켓 활성화 등 예술 시장의 전반의 중장기적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