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 충전기, 시간 단축 이점 크지만
전기차 ‘18.6대’당 충전기 1기 수준
1기당 적정대수인 ‘10대’ 크게 못미쳐
전기요금 상승 탓… 충전비 부담도 커

전기차충전소에서 전기차가 충전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기차충전소에서 전기차가 충전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최근 전기차 보급이 주춤한 데에는 보조금 축소 외에도 인프라 부족, 충전 요금 상승 등이 함께 꼽힌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춘천·철원·화천·양구갑)이 국토교통부 전기자동차 누적 대수 통계, 환경부 전기자동차 충전기 설치 현황에 대한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전기차 보급 대수에 비해 충전 인프라 보급은 약 절반 수준에 그쳤다.

특히 급속 충전 인프라는 충전기 1기당 전기차 평균 18.6대로 적정 대수 10대(경기연구원 2021년)를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충전기의 경우 완전히 충전하는데 보통 10시간 이상 걸리지만 급속 충전기는 20~30분 내외로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충전기 설치 비용의 차이가 큰 탓에 정부·지자체 지원 없이 일반 사업자가 급속충전기를 설치하긴 부담이 큰 실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 대전에는 모두 충전기 5894대가 설치돼 있었는데, 이 중 급속 충전기는 591대로 전체 설치 충전기의 10%에 불과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올해 5월까지 충전기는 6571개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며 "다만 급속 충전기는 비용 부담이 있기 때문에 올해의 경우 충전기 업체를 선정한 후 환경부 브랜드 사업 공모에 참여했고, 선정 결과에 따라 하반기에 급속 충전기를 확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충전 시간, 수리 등 다소 편의성이 떨어지는 부분과 전기요금 상승에 따른 충전 비용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정부·지자체 보조금은 줄어들었지만 차량 가격은 여전히 높아 총 비용이 상승하면서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느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한국전력의 적자 해소를 위해선 충전요금이 kWh당 560원까지는 상승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내연기관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구매 매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또 신기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전기차 구매를 대부분 완료했고 가격 등을 면밀히 검토해서 소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남은 것도 현재 전기차 시장이 주춤하는 이유 중 하나"고 설명했다.

이어 "대전은 이런 상황에서 급속 충전 인프라 부분도 부족하고, 수요보다 보급 목표가 과도하게 설정된 부분이 있어 당분간 전기승용차 보급을 확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금전적 혜택 외에 버스전용차로 일부 구간 개방, 전기차 주차공간 확보 등 혜택을 통해 친환경차 전환 속도를 높이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