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자 정부가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이 어제 범정부 대응단을 꾸려 현안 해결에 나선 것이다. 새마을금고는 다른 금융기관과 달리 행안부 소관이다. 새마을금고 지점에서 예·적금을 해지하려는 고객들이 몰리면서 대규모 예금인출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범정부 대응단의 조처가 예금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역대 최고점인 6.47%를 기록했다고 한다. 부동산개발사업 등에 빌려준 공동대출의 연체율은 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신협·농협과 같은 상호금융권 연체율(2.42%)의 2배를 웃돌고, 은행권 연체율(0.37%)보다는 17배 이상이다. 최근 연체율이 하향세에 접어들었다고는 하나 부실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수도권 일부 새마을금고의 인수합병 소식은 예금인출에 방아쇠를 당겼다.

예금인출은 지역 새마을금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의 한 새마을금고에선 이틀간 70억원의 예금해지가 있었다고 한다. 예?적금을 해지하기위해 고객들이 새마을금고로 달려간 것이다.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승 원인을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고금리에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자 차주들이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마을금고는 연체자산 매각과 채무조정을 통해 연체율 관리에 나섰다.

예금주들의 가장 큰 관심은 내가 맡긴 돈이 과연 안전 하느냐다. 범정부 대응단은 "일부 금고가 합병되더라도 고객의 모든 예금은 보장되며, 필요 시 정부 차입으로 유동성을 충분히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수준인 만큼 안심하고 이용하기 바란다"고도 했다. 새마을금고는 서민들이 많이 애용하고 있다. 예금주 보호와 함께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확보에 바짝 신경 써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