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대 총장 코드인사 논란 확산하자 "학교 문제 공론화"

기자들과 대화 나누는 김영환 충북지사 [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자들과 대화 나누는 김영환 충북지사 [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김영환 충북지사가 23일 충북도립대 문제를 공론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학 총장 인선과 관련한 ‘코드인사’ 논란이 확산하자 프레임전환 시도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충북도립대 문제를 도민들께 공개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할 생각"이라고 썼다.

이어 "이대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이미 교수님들도 모두 가지고 계시고 누가 총장이 되어도 풀기 어려운 문제"라면서 "오늘 우선 언론인들을 만나 도립대총장임명과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솔직하게 토론할 생각"이라고 했다.

그는 "1년에 130억(원)의 피 같은 예산이 계속 쏟아 부어지고 있다",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낡은 건물과 부족한 기자재에 수십수백억의 예산이 들어가야 한다", "400억(원) 들인 기숙사가 절반도 채우지 못한다", "11개 과가 난립하고 취업률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등 대학 측이 난감해할 문제를 열거했다.

그러면서 "총장을 누가 하느냐는 그 다음 문제"라고 했다.

김 지사는 현재 총장 코드 인사 논란의 도마 위에 놓여있는 상태이다.

그가 추천한 것으로 알려진 김용수 서울산업진흥원 상임이사가 지난해 11월 1차 공모 때 총장추천위원회 심사에서 탈락했는데 재공모에서는 1순위 후보자가 됐다.

총추위가 1차 공모에서 추천한 학교 재직 교수 2명은 충북도 인사위원회에서 퇴짜 맞았다.

김 상임이사가 총장 자리에 앉으면 그의 임기는 4년을 다 채우지 못한 최대 2년 6개월이 될 공산이 크다.

김 지사가 주도하는 충북도립대 혁신위원회가 정년퇴임 3년 이내 교수들 명예퇴직 유도 등이 담긴 혁신안을 내놨기 때문이다.

김 상임이사는 1961년생으로, 오는 2026년 2월 말이 65세 정년이다.

이에 정치권은 말할 것 없고 시민사회단체에서도 "투명하지 못한 인사"(충북참여연대)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충북도청 안팎에서는 갑작스런 김 지사의 충북도립대 문제 공론화를 두고 ‘허물로 허물 덮기’라는 곱지 않은 시선이 있다.

충북도립대의 문제를 부각해 인사 논란을 잠재우려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김 위원장을 총장으로 밀어붙이려는 포석도 깐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김 지사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신임 총장은 충북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 중앙정부와의 협상 및 교섭력, 11개 시·군과의 협력 등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사람"이라며 "양해해 주면 한번 일할 기회를 주고 싶다"고 한 발언에 고스란히 배어있다.

충북도청 한 중간간부는 "도립대 문제 공론화는 김 지사가 도립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밖으로 들춰내 자신이 이를 해결하려 특정 인사에게 특정임무를 주려한다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도민들 입장에서는 인사논란보다 도립대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느끼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실제로 도립대 문제가 공론화되면 인사논란은 생각보다 쉽게 가라앉을 수 있어 김 지사에게는 인사논란에서 벗어날 좋은 카드"라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