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월比 대전 3.8·세종 3.6·충북 4.4·충남 4.3% ↑
하반기 공공요금·원자재 가격 인상 등 불확실성 남아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고공행진하던 충청권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두달 연속 축소됐다.
다만 향후 예정된 전기·가스요금 인상, 석유류 등의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불안요소가 남아있어 물가 둔화 흐름이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4일 충청지방통계청 ‘3월 충청지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월대비 지역 소비자 물가 상승폭은 지난달에 이어 3~4%대를 유지했다. 각 시·도별 작년 동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대전 3.8%, 세종 3.6%, 충북 4.4%, 충남 4.3%다.
지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개월만에 5%대를 벗어난 데 이어 3월에도 4%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국제 유가 안정세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4.2%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까지 치솟았던 물가는 서서히 둔화되고 있으나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 계획, 최근 서비스·가공식품 가격 오름세 등을 고려하면 물가 불확실성은 남아있다.
특히 정부가 가스·전기요금 인상안을 한차례 미뤘음에도 전년 동월대비 4%대 물가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요금 인상폭과 시기가 확정되면 현재 주춤한 물가 상승률이 또다시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충청권 전기·가스요금 상승폭은 지난 2월 역대 최대 상승폭을 보였던 흐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별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대전 27.7%, 세종 27.6%, 충남 27.6%, 충북은 28.6% 상승률을 보였다.
시민 체감 물가가 큰 신선채소 가격도 지속 상승 중이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이 포함된 신선식품지수는 신선어개 가격만 소폭 둔화됐고 신선채소와 신선과실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격 오름폭이 전년동월비 7.3%로 확대됐다.
대전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신선식품 상승률이 9.5%를 기록하며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정부는 현재 둔화 추세에 접어든 물가의 안정 기조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을 점검·관리하면서 닭고기·가공용 감자 등 주 식품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인하·연장, 통신비 등 생계비 경감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소비자 물가 상승 흐름이 둔화하고 있는 추세”라며 “작년 상반기에 많이 상승한 기저효과를 감안해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안정화 될 가능성이 높지만 공공요금 인상, 석유류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 등 여러 불확실한 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