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수많은 원자력 시설 집중
세계적 손꼽히는 기술 집약지
타 지역 달리 대부분 연구기관
사업자에 비용 받을 수 없어
정부서도 재정지원 받지 못해
방사성 폐기물 반출양 매년↓
매년 500드럼 씩 반출 가정
보관량 배출 62년 이상 걸려
주민 구호사업 등 지원 절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된 유성 북부 주민들의 희생 속, 대전이 전국 방사선폐기물량 2위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임시보관에다가 발전소가 아닌 연구용 원자로라는 이유로 수십 년 째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며 형평성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위치한 대전은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본산이라 할 만큼 수많은 관련 시설들이 집중돼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수원중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원자력안전위원회 대전사무소 등 대전지역 내 관련 기관은 총 7곳이다. 아랍에미리트에 수출한 신형 원전 APR1400과 요르단에 수출한 연구용 원자로 개발까지, 대전은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원자력 기술 집약지다.

하지만 다른 원자력발전소 지역과 달리 대부분 연구기관이다 보니 원자력발전 사업자로부터 사회적 비용을 지급받을 수 없고, 방사능 방재업무가 국가사무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조차도 아무런 재정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나 다름없다. 대전은 인구밀집지역인 도심 한가운데 원자로, 원자력연료 생산 공장 등이 입지해 있다. 뿐만 아니라 원전 소재 지역 보다 많은 다량의 방사성폐기물을 가건물에 임시보관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전국 방사성폐기물(중·저준위) 보관현황(지난 6월 기준)’에 따르면 부산 기장 고리발전소(4만 1220드럼)에 이어 대전 하나로(3만 1309드럼)가 두 번째로 높은 양을 차지한다.

반면 대전의 방사성폐기물 반출양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대전에서 경주 처분장으로의 배출은 2015·2016 각각 1200드럼, 2017년 1600드럼에서 2018년 170드럼으로 대폭 줄었다. 이어 2019년엔 반출이 전무하다가 2020년 466드럼, 2021년 475드럼, 올해 386드럼 수준을 유지 중이다. 현재 연말 178드럼 반출을 앞두고 있다. 이렇듯 매년 500드럼씩 반출한다고 가정하면 남은 보관량을 모두 배출할 때 까지 무려 62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대전 특성상 실험이나 작업에 사용된 공구, 헝겊, 종이, 세척수 등 연구용폐기물이 대부분이다.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와 인접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유성북부로 구즉, 관평, 신성 총 세 곳이 포함된다. 최소한 이들 지역만큼이라도 주민들의 안전성 확보 및 구호사업 지원이 강화돼야 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전국원전동맹 회원인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은 "그간 관계기관의 화재, 방사성폐기물 분석오류, 방사능물질 유출사고 등 크고 작은 사건·사고로 지역 주민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며 "원자력안전교부세를 대표 발의한 지역구 이상민 의원과 협력해, 법안 통과에 주력하겠다"고 답했다.

최윤서·노세연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