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지원 약속에 대전 이전 급물살
일각서 “속도보다 집적효과 우선” 목소리
국토부 GB해제 등 조속 행정절차 필요성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속보>=최근 대통령 지시로 방위사업청 대전이전이 급물살을 타게 된 가운데 실질적인 조성부지를 놓고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이하 안산산단)’가 최적지라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3일, 22일자 각 1면 보도>

속도전을 고려한 정부대전청사 보단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방산산업의 집적효과를 더 우선시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대전지역 최대 현안인 방위사업청 대전이전이 윤석열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 받게 되자 이제 다음 관심은 구체적인 조성부지에 쏠리고 있다.

그간 대전시와 실질적인 이전 주체인 방위사업청은 안산산단과 정부대전청사 중 더 적합한 입지를 두고 저울질을 해 왔다.

사실 속도 문제라면 후자인 정부대전청사가 더 타당하다.

이미 당장 신 사옥 입주가 가능한 제3청사 유휴공간이 존재하고 교육환경, 주거 등 주변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위사업청 내부는 물론 지역 방산업계는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방산혁신클러스터로써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안산산단으로 이전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이다.

물론 대전정부청사 기능 자체가 과밀·비대해진 수도권 인구를 분산시켜 국토균형발전을 이루자는 목적으로 조성된 만큼 청(廳)단위 중앙행정기관인 방사청 역시 이론적으로는 이곳에 오는 것이 맞다.

하지만 방위력 개선사업의 수행, 군수품 조달 및 방위산업 육성에 관한 업무를 맡는 방위사업청 특성상 다른 청 단위 행정기관과 달리 연구기관, 방산기업 등 산·학·연과 연계 협력할 부분이 상당하다.

일반적인 행정지원이 아닌 군사력 개선을 위한 무기체계 R&D, 국방과학기술 지원 등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가 핵심 임무인 만큼 국내 최대 국방산업클러스터인 안산산단으로 이전해 새로운 방산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

지역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행정기관을 옮긴다는 것은 지역은 물론 국가의 백년대계가 걸린 중대한 일”이라며 “시간에 쫓겨 성급하게 결정하기 보다는 진정 지역과 산업 발전에 효과적인 장소로 이전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방위사업청 대전이전에 대한 대통령 의지가 무엇보다 강력한 상황에서 유력한 조성부지인 안산산단의 조속한 행정절차를 강조했다.

현재 안산산단 조성사업은 1년 넘게 ‘GB해제’라는 난관에 봉착해 있어 다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실정이다.

방위사업청 이전에 대한 지역민의 염원이 높아지며 산업용지 조성을 위한 국토교통부의 강력한 규제 개선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한편 안산산단은 첨단 센서 관련 산업 등 지역 전략 사업과 국방산업을 연계한 산업 용지 공급, 연구시설, 주거 지원, 공공 기능 등이 융복합된 첨단 국방 특화산업단지다.

내년까지 남은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2024년 보상 및 착공에 들어가 2026년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되고 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