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이어 외식물가 급등
저렴한 가격에 서민·직장인 북적
미흡한 지원에 업소 해마다 줄어
형식적 물품 지원보다 홍보 절실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치솟는 ‘살인물가’에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착한가격’ 업소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6일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대전 5.9% △세종 6.4% △충북 6.7% △충남 6.9% 상승했다.
코로나19 이후 풍부해진 유동성과 불안정한 대내·외 환경이 계속되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의 물가상승률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중 서민들의 밥상물가, 직장인들의 외식 비용과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 중 식품 지수는 전년동월대비 △대전·세종 8.6% △충북 7.8% △충남 7.7%나 올랐다.
각종 식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외식물가도 같이 오르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과 직장인의 부담을 덜어주는 ‘착한가격’ 업소를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
대전 서구의 한 착한가격 업소 대표 A 씨는 “최근 물가가 급등하면서 예전보다 가게를 찾는 손님이 20~30% 이상은 증가한 것 같다”며 “수지타산을 맞추기 쉽지 않지만 착한가격 업소는 박리다매 형식이다 보니 다른 곳처럼 가격을 올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착한가격 업소는 요식업, 이·미용업, 세탁업, 숙박업 등의 서비스 업종에서 지역 평균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뿐만 아니라 종사자의 친절도, 영업장의 청결도를 따져 매년 지자체에서 선정하는 곳으로 대전에는 273곳, 세종 35곳, 충북과 충남에는 각각 312곳, 293곳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착한가격 업소는 지자체마다 다른 지원 예산과 착한가격 업소 인증 스티커 정도 외에는 이들 업체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이 없다 보니 대전에서만 매년 10여곳씩 감소하고 있다.
이에 착한가격 업소들은 이러한 착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형식적인 물품 지원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박리다매 형식의 업체 특성상 이러한 착한가격 업소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많아져야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물가안정에도 도움이 되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라며 “온통대전 앱과 대전시의 배달앱과도 연계하는 홍보 수단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