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법 자료 배포·체험 교육 도입 계획
문제는 예산부족… 사업추진 한계 우려
“지자체·경찰 등과 단속방법 고민 필요”
[충청투데이 김진로 기자] 충북도교육청이 옥천 여중생 전동퀵보드 사망 사고를 계기로 개인형 이동장치(PM)에 대한 안전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충북교육청은 그동안 지역 교육지원청과 합동으로 전동킥보드 등 PM 이용에 대한 교통안전 캠페인 등을 실시했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생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학생 눈높이에 맞는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충북교육청의 전통퀵보드 안전교육 캠페인이 단순히 일회성 보여주기식 행사가 아닌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체험형 교육 위주로 시행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6일 학부모와 충북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9시 30분경 옥천군 여중생 2명이 전동킥보드를 타다가 자동차와 충돌해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나머지 학생도 팔에 큰 부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교육청은 이 사건이 발생하자 즉시 사고 학생과 학부모, 해당 학교와 옥천교육지원청에 대한 심리적 안정을 돕기 위한 심리치료 검사 지원 프로세스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전동퀵보드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이달 중 도내 모든 학교에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올바른 사용법을 홍보하는 교육 자료를 배포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자체 교육만으로는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 교통 관련 유관기관과 함께 체험 중심의 안전 교육을 추진하기로 했다. 일회성 안전교육 캠페인이 아니라 학생들이 체감할 수 있는 찾아가는 교육방식을 도입하겠다는 얘기다.
문제는 예산이다.
찾아가는 교육을 진행하려면 예산이 수반돼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교육 현장인 일선 학교에선 찾아가는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찾아가는 PM교육을 수행할 예산은 태부족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 등에서 체험 중심의 실제적인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 도교육청도 일선 학교로 찾아가 PM 이용의 위험성을 알려 아이들의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학교에서도 요청이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수반돼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학생들이 PM 활용도가 너무 간편하고 빠른 걸 인지해서 학교에서 교육만으로는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 뒤 "지자체나 경찰에서도 학생들의 잘못된 PM 이용을 단속하는 방법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진로 기자 kjr60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