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부서와 자료정보 공유 차단
본조사 전 입맞추기 예방 나선 듯
청주시·괴산군 특별재난지역 선포

국무조정실이 폭우로 인한 침수로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감찰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진 17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에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2023.7.17 사진=연합뉴스.
국무조정실이 폭우로 인한 침수로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감찰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진 17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에 직원들이 오가고 있다. 2023.7.17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침수 참사에 대한 국무조정실의 감찰이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

19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국무조정실이 지난 17일 24명의 사상자(사망 14명, 부상 10)가 발생한 궁평2지하차도 참사 원인을 규명하는 감찰에 착수했다.

국무조정실은 당시 보도자료에서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지 못한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것"이라며 "모든 관련 기관이 예외 없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은 이어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국민께 신속하고 투명하게 알려드리겠다"며 "징계·고발·수사의뢰·제도개선 등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고강도 감찰을 예고했다.

국무조정실은 현재 충북도 등에 사고 당시 전후의 각종 대책회의에 참석한 인사, 회의 내용 등 전방위적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은 이 자료를 해당 부서에 요구하면서 다른 부서와는 자료정보 공유를 하지 못하게 했다.

이 때문에 충북도 관련부서가 국무조정실의 요구 자료에 대한 보고를 김영환 지사에게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국무조정실이 유관부서 간 사전 입맞춤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의 감찰 정도는 다른 기관도 마찬가지 일 것"이라면서 "본 조사에 들어가면 정도가 상상을 초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에 미호강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19일 흥덕구 오송읍행정복지센터에 이재민 대피소가 마련돼 있다. 2023.7.19 사진=연합뉴스.
충북 청주에 미호강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19일 흥덕구 오송읍행정복지센터에 이재민 대피소가 마련돼 있다. 2023.7.19 사진=연합뉴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이번 집중호우롤 큰 피해가 난 청주시와 괴산군, 경북 예천군 등 13개 지방자치단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지역별로는 충북과 전북 각각 2곳, 경북과 충남 각각 4곳, 세종시 등이다.

이번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곳은 사전조사 결과 선포기준을 충족할 것이 확실시되는 지역이다.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행정안전부의 사전조사에 청주시와 괴산군의 경우 피해액은 각각 133억 7600만원, 95억 7700만원으로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청주시 95억원, 괴산군 65억원)을 훨씬 웃돌았다.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엿새간 충북지역에 평균 392㎜의 비가 내렸다.

이 기간 청주시 가덕면은 549㎜로 충북도내 최고 강수량을 기록했다. 시·군별 강수량은 청주 529.5㎜, 충주 373.9㎜, 제천 391.7㎜, 보은 431.1㎜, 옥천 345.5㎜, 증평 403.5㎜, 진천 367.5㎜, 괴산 445㎜, 음성 412.5㎜, 단양 348㎜ 등이다.

이번 비로 충북에서 17명(청주 15명, 괴산 2명)이 숨지고, 14명(청주 12명, 옥천과 괴산 각각 1명)이 다쳤다.

또 633건의 시설 피해가 발생하고, 2746.5㏊에서 농작물 피해를 냈다.

11개 시·군 1422세대 2616명이 대피했다가 2205명이 귀가하고, 411명은 현재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