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자체 적정 가격 업체 선정 등
논란 사전차단 전방위 대책마련 나서
"1년 준비 노력 허사 우려 특단 조치"
[충청투데이 김진로 기자] 충북 지자체들이 축제장 바가지요금 잡기에 비상이 걸렸다.
축제장 바가지요금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런데 도내 지자체가 축제장 바가지요금 잡기에 나선 이유는 최근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한 전통시장 상인이 옛날 과자 한 봉지를 7만원에 강매하는 장면이 방영되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으로 인해 해당 상인 뿐만 아니라 지자체까지 비판의 대상이 되며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이에 도내 지자체는 지역 축제장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되풀이되면 1년간 준비했던 노력이 허사가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바가지요금을 잡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시는 오는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청원생명축제장의 바가지요금 단속에 칼을 빼들었다. 우선 오는 7월 청원생명축제 참여업체를 공개모집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메뉴 가격 등을 꼼꼼히 살필 계획이다. 축제장 바가지요금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충주시도 축제장 상황실에 바가지요금, 불공정 상행위 신고센터를 운영해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로 했다.
특히 올 가을 개최 예정인 제51회 우륵문화제에 운영 예정인 먹거리부스와 푸드트럭 업체 선정 시 적정 가격을 제시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등 바가지요금 논란 없는 축제 만들기 대책 마련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제천시는 축제기간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공무원 1명, 상담원 2명으로 구성된 이동소비생활센터를 축제 장소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앙시장 건물에 소비자신고센터를 상시 운영해 소비자 피해 예방에도 나설 예정이다.
단양군도 휴가철 지역축제 물가안정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관광객이 많이 찾는 6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물가안정 특별대책 기간으로 지정, 피서지 합동 단속반을 운영한다. 이와 함께 축제장 바가지요금으로 인한 지역 이미지 훼손을 막기 위해 특별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음성군도 축제기간 이동소비생활센터를 설치해 바가지요금 등 피해예방에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괴산군은 축제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소비자 불만이 접수되면 다음 축제 참가를 제한하는 방안 등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밖에 나머지 지자체도 소상공인연합회 등 단체들과 지역 축제장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최근 전통시장이나 각종 축제장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잇따르면서 우리 지역에선 이 같은 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자칫 바가지요금 논란이 일면 1년 동안 준비한 지역민들의 노력이 허사가 될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찬물을 끼얹을 우려가 있다"며 "축제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물가 안정을 위한 전방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진로 기자 kjr6040@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