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서남부 8개 시·군 발전계획 수립 추진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도가 지역 균형발전 시대를 선도하고 도내 불균형 격차 해소를 위해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과 더불어 ‘서남부권 발전계획’을 수립한다.
고효열 도 균형발전국장은 11일 도청 프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상대적으로 낙후한 도내 서남부 8개 시·군(보령, 서천, 공주, 부여, 논산, 계룡, 금산, 청양)의 발전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2008년부터 1조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돼 도내 균형발전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급격한 인구 감소로 지방 소멸 위기까지 대두되고 있는 서남부권 맞춤형 발전 방안이 시급한데 따른 것이다.
또 전북과 상생 협력, 해양자원 활용 등을 위해 기존 금강권역에 보령, 서천을 포함시켜 서남부권으로 권역을 확대했다.
이에 따라 도는 오는 12월까지 △서남부권 발전계획 점검·재구성 △지역 맞춤형 발전계획 △서해안권·내륙첨단산업권 발전종합 계획 △전북·세종·대전과 초광역 협력 정책과제 등을 담은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신규 정책과제 발굴과 국비 확보를 위한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추진 중인 충남 북부의 아산만권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에 이어 지역 주도 균형발전을 위한 ‘투(two) 트랙’ 전략에 나선 셈.
베이밸리 메가시티는 충남 천안, 아산 당진, 서산과 경기 남부 지역의 기업·산업·연구·대학을 밀집시켜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발전시키겠다는 민선 8기 힘쎈충남의 제1호 과제다. 주요 내용으로는 △아산만(천안~아산~평택) 순환철도 건설 △최첨단 산업벨트 조성 △수소에너지 융복합산업벨트 조성 △서해안권 마리나 거점 공동육성 △해양쓰레기 처리 공동대응 △미군기지 주변지역 지원확대 등 9개 사항을 담고 있다.
도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 검토, 제22대 총선공약 반영, 국가 정책화 건의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더불어 충남의 고질병인 지역소득 역외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주여건 개선에도 힘써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산업단지 조성 등 하드웨어에만 치우친 발전 전략은 직장은 충남에서 다니고 소비는 수도권 등 타 지역에서 하는 ‘직주불일치’ 현상만 심화, 충남의 역외유출 규모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실제 지난해 충남의 역외유출 금액은 -25조원(유출률 20.4%)으로 수 년째 전국 부동의 1위 수준이다.
고효열 도 균형발전국장은 "지역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권역별 맞춤형 발전계획과 더불어 생산·소비가 지역 내에서 이뤄져 지역경제가 선순환할 수 있도록 정주여건 개선, 편의시설 확충 등의 계획도 반영·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