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광 대전시의원 시정질문서 지적
이 시장 “전반적 균형발전 정책 구상”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대전지역 원도심으로 대표되는 동구·중구·대덕구와 서구·유성구 신도심간 인구·소득 격차가 커지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선광 의원(국민의힘·중구2)은 7일 대전시의회에서 열린 제270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원도심 활성화 방안 마련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인구 수가 47만 374명으로 가장 많은 서구와 17만 2746명으로 가장 적은 대덕구의 인구차는 이미 2배를 넘어섰다”며 “서구·유성구를 중심으로 개발과 경제적 성장이 이뤄지고 양질의 일자리가 공급되면서 지역 내 총생산의 격차도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 자치구 지역 내 총생산(GRDP)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서구 12조 7164억원, 유성구 15조 3434억원인 반면 원도심은 동구 3조 6912억원, 중구 4조 9286억원, 대덕구 7조 7135억원에 그쳤다.
김 의원은 “원도심에 인구 유입을 이끌 수 있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 원도심 발전을 저해하는 미준공의 장기방치 건축물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한다”며 “일자리경제진흥원과 시설관리공단을 원도심으로 이전하는 사업과 관련 원도심 내 장기 미준공 건축물을 매입해 사용하거나 신축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도시 내 전반적인 균형발전 정책을 구상,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시는 균형발전 차원에서 5개구가 고루 잘사는 정책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시 산하 기관은 현재 중구와 유성구에 7개, 서구에 3개가 있고 동구와 대덕구는 없는 상황인데, 이전 검토 기관은 관광공사·시설관리공단·일자리경제진흥원으로 향후 이전 적합성, 균형발전 등을 검토해 이전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원도심 등에 방치된 건물의 매입과 활용은 시 재정여건과 매입비용의 적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며 “원도심뿐아니라 서구 기성동 등 토지활용과 계획에 대한 구상을 하고 있고 도시 전체가 균형발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