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선 참패 성적표를 받아든 국민의힘이 한동훈 지도부 해체에 따른 향후 진로를 놓고 격랑이 예상된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대위원들은 지난 11일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고, 자신의 지역구에서 생환한 장동혁 사무총장도 "모든 질책과 비난까지도 다 제 몫"이라며 당직에서 물러났다. 사진은 12일 서울 국회 국민의힘 대회의실 모습. 2024.4.12 사진=연합뉴스. 
총선 참패 성적표를 받아든 국민의힘이 한동훈 지도부 해체에 따른 향후 진로를 놓고 격랑이 예상된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대위원들은 지난 11일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고, 자신의 지역구에서 생환한 장동혁 사무총장도 "모든 질책과 비난까지도 다 제 몫"이라며 당직에서 물러났다. 사진은 12일 서울 국회 국민의힘 대회의실 모습. 2024.4.12 사진=연합뉴스. 

제22대 총선에 대한 충청민들의 선택은 현 정권에 대한 견제였다. 다시말해 균형을 선택한 것이다.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을 선택했던 충청민심은 이번 총선에서는 달랐다. 민심은 참으로 냉정했다.

지난 21대 총선 충청권 28석 중에서 더불어민주당이 20석을 가져가며 현 정권에 힘을 실어줬었다. 국회의원 임기 4년이 지나면서 대선,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국민의힘에 힘을 실어줬던 민심은 이대로는 안된다라는 생각이었던 것인지 다시 이번 총선에서도 민주당을 선택했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지난 총선보다 1석을 더 가져가면서 21석을 차지했다.

사실상 중앙정부에 대한 실망이 민주당을 선택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고금리와 고물가, 끝이 어딘지 모르게 추락하는 경제로 시민경제는 무너지고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삶은 피폐해져 가고 있다. 참다 결국 회초리를 국민이 꺼내 든 셈이다. 하지만 지방정부는 성격이 다르다.

풀뿌리 민주주의라 여기는 지방자치는 살기좋은 고장을 만들기 위한 정치권의 협치가 절대적으로 우선시 된다. 다시말해 여·야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이 나타나서는 안되는 화합과 상생의 정치가 이뤄져야 하는 곳이어야 한다.

현재 충청권 4개 시도 광역단체장 모두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이다. 하지만 국회의원 의석수는 상당수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다. 중앙정치처럼 대립과 갈등이 있어서는 안된다. 국회의원들은 중앙정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라는 본연의 역할과 동시에 지역의 현안 사업이 관철될 수 있도록 대정부를 향해 측면 지원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중에 하나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충청권 4개 시도에는 국회의원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줘야 하는 현안들이 즐비하다. 대전은 혁신도시 공공기관이전, 한국첨단반도체기술센터 건립,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들이 있고 세종은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국회의원들의 정부를 향한 한 목소리가 여느때보다 중요하다.

중부내륙특별법 개정을 염원하는 충북과 국립의대 신설과 이민관리청 유치를 위해 나서는 충남을 지원사격해야할 필요가 있다. 지방정부, 충청권 국회의원 28명 모두 충청인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초당적인 상생·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