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사진=연합뉴스.
의과대학.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분을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에 대폭 배정한 건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정부는 어제 의대 정원 증원분 2000명 중 82%인 1639명은 비수도권에, 나머지 18%인 361명은 경인권에 배분했다. 서울 지역에 배정된 증원분은 단 1명도 없다.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 중 충남대는 현 입학정원 110명에서 200명으로, 충북대는 49명에서 200명으로 입학정원이 무려 4배나 늘어난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는 것은 1998년 이후 27년 만이다.

그동안 비수도권에서는 지방대학 위주로 정원을 늘여야한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서울 지역이 3.61명으로 전국 평균 2.23명보다 훨씬 많다. 군(郡)단위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지방의료원은 의사를 뽑지 못해 만성적인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지방의 환자들은 수도권 대형병원을 찾아 원정치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정원조정으로 비수도권 의대정원은 전국 의대정원의 66.2%(2023명)에서 내년에는 72.4%(3662명)로 높아진다.

정부는 국민이 어디서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 완결형 의료체계 구축에 정원 배정의 주안점을 뒀다고 한다. 지방 거점 국립대의 의대 정원과 교수, 시설 등을 대폭 확충해 ‘빅5’ 병원 수준으로 키운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의대 정원을 늘린다고 해서 의료격차가 저절로 해소되지는 않는다. 지역에서 양성한 의사가 지역에 정착해 의술을 펼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필수 의료와 지역 의료 강화에 진력해 주기 바란다.

한꺼번에 의대 정원이 크게 늘어나자 의료교육 부실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현재의 시설로는 정상적인 교육이 어렵다는 것이다. 전공의 집단사직과 의대생 수업 거부에 이어 의대 교수들까지 집단사직을 결의하고 나서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했다. 극한으로 치닫는 의·정 대립이 과연 언제쯤 봉합될 수 있을지 국민들이 애타게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