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쇼핑에 따른 역외유출 성장 걸림돌
연계 소비증가 지역경제 파급효과 증명
정서적 반발 극복 맞춤 정책 변화 필요

한 대형마트의 농산물 코너. 사진=연합뉴스.
한 대형마트의 농산물 코너.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대형유통시설 유치는 늘 ‘뜨거운 감자’다.

시대적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소비자 관점에서 보면 필수시설이지만,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상대적 피해를 우려하는 정서적 반발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형유통매장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출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것이란 지적이 통계조사로 확인된 것인지 검증된 것일까.

각종 연구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같은 우려는 단순한 정서적 반발과 예측 오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 조사 결과, 2022년말 기준 충북도내 총생산(GRDP)은 80조원에 이른다.

반면 지역내총소득(GRI)은 66조 2000억원으로, 20% 정도인 13조 8000억원 정도가 역외로 유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이러한 소득역외순유출 규모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충북연구원 조사를 살펴보면 충북지역 소득 역외순유출 규모는 2000년 3조에 불과했으나, 2010년 6조 3000억원으로 두 배로 늘어난 데 이어 2020년엔 11조 8000억원, 2022년 13조 8000억원 등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생산 규모는 높은 데 소득 규모가 낮다면 결과적으로 지역경제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게 경제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소득의 역외유출 현상이 심화되는 요인은 충북지역 주민들이 대전이나 세종, 천안 등 인접한 충청권은 물론 서울 등 수도권에서 소비활동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전·세종연구원이 2022년 10월 내놓은 ‘대형유통점 입점 이후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프리미엄아웃렛과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이용객 중 대전시 거주자는 45%인 반면 타지역 거주자가 55%로 더 많았다.

타지역 거주자 중 충북을 포함한 충청권 거주자가 전체의 절반 정도인 47.7%를 차지하고 있다.

외지인들의 평균 1회 지출비용은 24만 6000원으로, 대전지역주민 16만 8000원을 훨씬 웃도는 등 외지인들의 소비 규모가 증가하면서 전체 소매업종 매출이 향상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역외자금 유입 확대로 증명된다. 한국은행 조사 결과 2022년말 대전지역 역외 자금 유입 규모는 3조 7000억원, 세종지역도 8000억원에 이른다.

충청권내 백화점 매출만 비교해봐도 쉽게 확인된다.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2022년말 기준 매출은 신세계 대전점이 864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9.4% 증가하며 1위를 기록했고, 대전 갤러리아타임월드점이 7362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청주에 있는 현대백화점 충청점은 3718억원으로 대전 소재 백화점 매출의 절반 정도에 그쳤다.

지난해에도 신세계 대전점이 9464억원, 갤러리아타임월드점이 6766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현대백화점 충청점은 3776억원에 그쳤다.

이같은 각종 통계지표를 감안하면 대형유통시설 입점 제한에 따른 지역상권 보호 효과보다는 대형유통매장 입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더 크다는 점에서 인식 전환이 요구된다.

전국 자치단체들이 대형유통시설 유치에 적극 나서는 배경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성장을 위해 실질적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주에도 대형유통시설 입점 필요성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도 커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