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총생산 80조원 중 14조 역외유출
매년 증가세… 2000년 3조 대비 5배↑
쇼핑·문화예술·관광인프라 강화 시급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충북지역의 소득 대비 역외유출 규모가 해마다 상승세를 보이며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 지역경제를 위축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충북지역내 총생산(GRDP)은 80조원으로 전국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중위권인 9위에 올랐다.

반면 지역내총소득(GRI)은 66조 2000억원에 불과, 전국 17개 시·도 중 중하위권인 11위를 기록했다.

지역내 총생산에서 지역내 총소득을 제한 소득역외순유출입은 -13조 8000억원으로 전국 최상위권인 3위로 분석됐다.

지역주민이 벌어들인 총소득 가운데 20% 정도는 타 지역에서 소비한다는 말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같은 소득 역외 유출이 해마다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충북연구원 조사 결과를 보면 충북도내 소득 역외유출 규모는 2000년 3조원에 불과했으나, 2010년 6조 3000억원, 2015년 9조 4000억원, 2020년 11조 8000억원, 2021년 12조 9000억원 등으로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이처럼 충북지역 소득의 역외유출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소비 인프라 미흡 등으로 인해 서울과 경기는 물론 충북과 인접한 대전·세종 등 충북 이외 지역에서 소비하는 비중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백화점이나 대형할인매장 등 쇼핑시설이 부족한 데다, 온라인 구매 증가 등이 역외 소비 요인으로 지적된다.

의료서비스 인프라 미흡에 따라 서울이나 경기지역으로 유출되는 현상도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각종 공연이나 전시, 위락시설 등이 소비자 요구를 충족하지 못해 타지역에서 소비하는 추세가 한 몫하고 있다.

서울지역의 소득역외순유출입 규모는 44조 7000억원에 이르고, 경기지역도 33조 2000억원에 달하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충북과 인접한 세종지역도 8000억원의 역외 자금이 유입됐으며, 대전지역은 3조 7000억원의 역외 자금이 흡수됐다.

도내 자치단체들이 대형유통시설 입점에 대한 일부 반대 여론에 민감한 소극적 행정, 정주여건 미흡에 따른 의료서비스·문화예술 시설 확충 한계, 자연환경에 의존한 관광산업 등 행정과 인프라의 구조적 개선없인 소득 역외 유출을 차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소비 유형과 소비자 요구 등을 면밀히 분석, 이를 반영한 정책 다각화 등 자치단체들의 전향적 행정을 통해 소비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