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청, 세종교육청, 충북교육청, 충남교육청.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대전교육청, 세종교육청, 충북교육청, 충남교육청.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이윤경 대전교사노동조합 위원장= 시대적 요구에 맞춰 공교육을 바로 세우고, 양질의 돌봄을 제공하기 위한 공적 시스템 구축에 힘써야 한다. 현재 늘봄학교는 우격다짐, 속전속결로 학교로 밀어 넣다 보니 공교육을 훼손하고, 돌봄의 질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가 가진 물리적 한계와 현장의 목소리, 학생수 감소, 교육 예산 축소 등 다방면을 고려해 학교와 지자체가 함께 하는 온종일 돌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 수업시수 법제화, 행정업무 경감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교사는 여전히 교육활동 외의 업무에 시달리고, 학생들은 방치되고 있다. 끝으로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교사들이 교육 정책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교사 정치기본권이 확립돼야 한다.

△이찬솔 충남대 총학생회장= 대학생, 청년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민한 정책이 많이 나오길 바란다. 청년의 관점에서 볼 때 대전 같은 지방대학 대학생의 경우 취업을 하게 되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있다. ‘청년 진공 상태’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20대 대학생은 많지만 30대에 사라졌다가 다시 40~50대가 돼 지역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런 청년 진공을 극복할 수 있는 청년 정책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양질의 일자리, 주거를 포함한 정주환경이 더욱 확충돼야 한다. 또 국립대학의 경우 공공요금이나 시설 등 경직성 경비가 많아 아무래도 학생 입장에선 재정 투입의 결과가 직접적으로 돌아온다는 느낌이 부족하다.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이 대학생의 복지나 문화생활 등 피부에 직접 와 닿는 데 사용됐으면 한다. 미래사회를 이끌 청년에 정치가 깊은 관심을 기울이길 기대한다.

△정인훈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학생취업처장= 21대 국회를 되돌아보면 대화나 양보는 생각조차 하지 않고 극단적으로 진영 갈라치기 하던 모습만 기억하는 국민들이 많다. 국회의원들 자신은 "국민의 대표, 걸어 다니는 헌법기관이다"라고 외치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22대 국회는 그에 걸맞은 행동과 소신을 갖추길 희망한다. 특히 지지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을 섬기는, 당의 이익보다는 국가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22대 국회가 됐으면 한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