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취업박람회에서 이력서를 든 구직자들이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2023.11.1 사진=연합뉴스.
취업박람회에서 이력서를 든 구직자들이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2023.11.1 사진=연합뉴스.

2030 청년세대의 가장 큰 관심사는 역시 ‘일자리’와 ‘주거’였다. 대전지역 2030 청년세대가 일자리와 주거문제를 가장 중요한 청년지원정책으로 꼽은 것이다.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가 대전 거주 만 20-39세 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대전시 청년정책 활성화를 위한 여론조사’에서다.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 일자리 정책이 43.2%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주거 정책 39.2%, 복지·문화 정책 14.1%, 교육 정책 1.9%, 참여·권리 정책 1.5% 등의 순이었다.

일자리와 주거 정책을 합하면 82.4%나 된다. 청년정책 중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타 충청권 지자체도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실정은 비슷할 것이다. 그렇다면 청년정책도 여기에 초점을 맞춰야겠다. 청년들이 사회생활을 하자면 일자리와 거주할 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일자리와 주거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일자리 즉 안정적 소득이 있으면 집을 구하는데 훨씬 유리하다. 또 사는 곳이 안정되면 근로의욕이 높아진다.

하지만 일자리를 구하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통계청의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청년층 실업률이 5.2%에 이른다. 구직을 포기한 채 집에서 쉬는 청년이 68만명에 달한다는 ’2023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조사‘ 결과가 나왔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등 여러 이유가 있을 거다. 무엇보다 일자리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기업은 채용을 늘리고, 지자체는 연결통로역을 자처해야한다. 청년들이 집을 마련하고자 ’영끌‘에 나서지만 많은 경우 결과는 참담하다. 사회 초년생들에게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지자체의 한 역할이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올 2분기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최저 수준이다. 인구절벽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여러 출산 장려책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일자리와 주거를 해결하지 않고 출산율을 끌어올린다는 건 불가능하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을 수립해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