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빈일자리율 충북 40.6%·충남 39.3% 심각
산업구조 급변·지방거점도시 쇠락 영향 증가 분석
정부, 지역인력 유입·근로환경 개선 등 대책 내놔

충청권 업종별 빈일자리 비중순위. 그래픽 김연아 기자. 
충청권 업종별 빈일자리 비중순위. 그래픽 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충청권에서 빈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곳은 ‘제조업’이었다.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지방거점도시 쇠락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며 지역 제조업의 빈일자리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16일 발표한 지역 내 업종별 빈일자리 비중 순위(2023년 8월 기준)를 보면 충청 지역 제조업 빈일자리 비중은 대전 13.7%, 세종 27.5%, 충북 40.6%, 충남 38.3%다.

충청권 4개 시·도 모두 ‘제조업’에서 빈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제조업의 빈일자리 비중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충북과 충남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 빈일자리가 다수였다.

충남과 충북의 제조업 빈일자리수는 각각 4396명, 4396명에 달한다.

2순위는 충청권 4개 시·도 모두 ‘보건·복지’였다. 지역별로 대전 12.7%, 세종 12.3%, 충북 13.2%, 충남 12.8%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국에서 빈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곳도 충청권에서 나왔다.

충북의 빈일자리율은 1.7%로 전국 빈일자리율 1.2%를 크게 웃돌았고 충남은 1.4%로 바로 뒤를 이었다.

정부는 지역의 인구 유출과 고령화 심화, 지역 소재 기업 근로 기피 등 구조적 요인을 빈일자리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산업구조 변화와 지방거점도시 쇠락 등으로 비수도권 중심 인재유출이 지속되면 향후 인력난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산단 고용 연평균 증가율에서도 나타난다.

2007~2011년까지 6.0%였던 산단 고용 연평균 증가율은 2012~2016년 4.7%, 2017~2021년은 1.0%로 내려앉은 상황이다.

노후화 등으로 근로환경이 열악한 일부 지역 산업현장의 경우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근로기피 현상도 심화되는 추세지만 미흡한 정주여건, 부족한 복지·문화시설, 지방 산단 인프라 노후화 등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 인재확보 어려움은 반복되고 있다.

수도권 쏠림현상도 해결해야 하는 문제도 지목된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의 빈자리율은 0.8%에 불과했다.

정부는 이날 지역별 산업 여건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인력난이 큰 부문을 중심으로 지자체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종합 해소 방안을 내놨다.

‘지역별 맞춤형 빈일자리 해소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인력 유입, 근로환경 개선 등 투트랙으로 본격적인 빈일자리 해소 방안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유영 기자

지역내 업종별 빈일자리 비중 순위(2023년 8월 기준). 고용노동부 제공
지역내 업종별 빈일자리 비중 순위(2023년 8월 기준). 고용노동부 제공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