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고물가에 빚 못갚는 청년들]
대전·충남 청년층 LTI 2019년 후 급상승
장래소득 추정 등 소득 심사방식 보완 필요
"대환 대출 지원 등 통해 연체 않도록 도와야"

한 거리에 붙은 카드대출 안내 스티커. 사진=연합뉴스.
한 거리에 붙은 카드대출 안내 스티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고용과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층이 대출-연체의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현상은 과장이 발표한 ‘대전·세종·충남지역 가계부채 특징 및 잠재리스크 점검’ 조사연구를 보면, 2019년 말 이후 대전과 충남지역 청년층(39세 이하)과 고령층(60세 이상)의 가계 부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1년 말 대전지역 청년층 가계부채 증가율은 27.5%로 광역시 평균(25.1%)을 상회했고 충남 청년층 가계부채도 21.4%로 8개 도(16.3%) 평균보다 높았다. 2021년 말 청년층 연체율도 대전과 충남이 각각 0.8%, 0.5%를 기록했다. 대전은 광역시 중에서 청년층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더 큰 문제는 대전·충남 청년층의 LTI(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가 2019년 말 이후 빠르게 상승해 비청년층의 LTI를 따라잡았다는 점이다. 이는 청년층의 1인당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채무상환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2021년 말 대전과 충남 청년층의 LTI는 각각 214.6%, 211.1%로 2019년 말에 비해 각 31.8%p, 31.6%p 상승했다. 현 과장은 보고서에서 "청년층의 경우 최근 LTI가 빠르게 상승한 것에 유의하되 현재 소득이 낮아 상환능력이 과소평가되기 쉽다. 다양한 통계를 활용해 장래 소득을 추정하는 등 소득 심사방식을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년층의 가계부채가 늘고 연체에 시름하는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그중에서도 고용과 소득의 불안정이 꼽힌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5월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 수는 400만 5000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만 9000명 감소했다. 그중 26%(104만 3000명)는 주당 36시간 미만 파트타임 근로자로 나타났다.

지역 경제계 일각에서는 청년층의 신용리스크를 우려하는 한편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조복현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2030대의 가계부채는 자산을 증식시킬 목적이 아니라 생활비를 보충 조달하는 경우가 많아 상환 곤란에 부닥치는 일이 더 많다"며 "중년세대의 경우 벌어 놓은 돈도 있고 안정적인 소득원도 있으니 갚을 능력 있는데 젊은 세대는 축적된 자산이 많지 않은 데다가 직장 유동성까지 심해 빚 상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청년층은 요즘처럼 주택 가격이 떨어지면 재산 전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중채무를 지다가 사금융을 통해 돈을 빌리면 금방 신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일자리 창출, 대환 대출 등의 지원을 하고 지자체 차원에서도 기존 제도를 적극 활용해서 청년들이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