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점검] 개항 27년 청주국제공항, 이제는 비상해야 할 때
上. 청주국제공항의 어제와 오늘
中. 정부 공항정책 선택과 집중 필요하다
下. 교통·물류시설 넘어 경제 인프라로 구축해야

上. 청주국제공항의 어제와 오늘
1984년 행정수도 이전 검토 수도권 신공항으로 건설 추진
다섯 차례 축소 거듭… 당초 계획의 4분의1수준으로 전락
이용객 증가·노선 확대 등 따라 활주로 등 시설확충 시급

사진 = 청주공항. 충청투데이 DB
사진 = 청주공항.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청주국제공항이 개항 27년째를 맞고 있지만, 국제공항이란 이름은 아직도 어색하기만 하다. 수도권 신공항이란 화려한 수식어를 동반해 잉태됐지만, 중부권공항에 이어 청주신공항으로 체급을 거듭 낮춘 산고(産苦) 끝에 1997년 미숙아(未熟兒)로 태어났다. 대선 정국 속 정치적 산물이란 태생적 한계는 이후에도 정부와 정치권의 정치논리와 무관심에 휩쓸려 ‘동네공항’이란 오명으로 점철돼 온 것이 현실이다. 교통·물류 수단으로서 항공 수요가 증가하는 데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건설되는 세종시의 기능적 완성단계, 중부권 거점 공항 육성 필요성 등 여건과 환경 변화에 따라 청주국제공항도 새로운 도약과 비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충청투데이는 3회에 걸쳐 청주국제공항의 현황을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해본다. <편집자주>

청주국제공항 건설이 처음 대두된 것은 지난 1984년,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행정수도 중부권 이전을 검토하면서다.

정부는 이에 따라 김포국제공항을 대체할 수도권신공항 건설을 내세워 이듬해말 기본설계를 마쳤다.

당시 청원군 북일면 일원에 총사업비 3089억원을 들여 3.6㎞의 활주로를 설치하고 여객청사 10만㎡, 화물청사 2만 4000㎡, 계류장 10만㎡ 규모의 민간전용 국제공항으로 설계됐다.

신공항이 들어설 지역에 있는 공군기지는 이전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정치권 내부에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수도권신공항이 충북에 건설되는 것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군 내부에서도 공군기지 이전에 반대하는 분위기가 표출되기 시작했다.

결국 1989년 당초 계획보다 크게 축소된 청주공항 건설계획이 새로 발표된다.

공군기지 이전 백지화에 따라 민간 전용 공항에서 민·군 겸용 공항으로 바뀌었고, 공항 명칭도 청주국제공항에서 청주신공항으로 변경되면서 사업비도 당초 계획의 절반 수준인 1397억원으로 줄었다.

이어 1989년 4월 인천 영종도 국제공항 건립이 확정되면서 청주공항 건설계획은 재차 축소돼 사업비도 799억원으로 감액되는 등 다섯 차례나 사업계획이 변경되는 우여곡절 끝에 1997년 초라한 모습으로 개항했다.

이 때문에 개항 첫해 이용객수는 37만여명에 불과, 국제공항이란 이름을 무색케 했다.

그러나 충북도를 비롯한 자치단체와 청주공항공사, 지역 사회단체 등이 청주공항 활성화에 힘을 모으면서 국제노선 확대를 통해 이용객수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에 힙입어 2009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데 이어 2015년 200만명을 돌파했고, 지난해엔 300만명을 웃도는 이용객들이 청주공항을 다녀갔다.

올들어 상반기 현재 이용객수는 163만 2000여명으로 지난해 300만명을 훌쩍 넘어 개항이래 최대 이용객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사들의 청주공항 국제노선 취항도 확대되면서 현재 4개국 7개 국제노선이 운항중이며, 연말까지는 9개국 18개 노선으로 늘어난다.

이처럼 청주공항이 활기를 띠면서 국제공항으로서 위상을 찾아가고 있으나, 활주로 등 시설은 국제공항으로 완전한 면모를 갖추기엔 턱없이 부족, 공항 활성화에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북지역 자치단체와 지방의회, 사회단체 등은 민간전용 활주로 신설 등 공항 시설 확충을 요구하고 있다.

청주공항 활성화는 충북지역에 국한된 지역현안이 아닌, 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국가적 중요 현안이라는 점에서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 지원 당위성은 충분하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