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령인구만 남은 농촌지역의 모습. 사진=윤지수 기자
고령인구만 남은 농촌지역의 모습. 사진=윤지수 기자

충남 전체 마을 중 32%가 소멸위기에 처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충남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마을소멸지수를 충남 전체 4394개 행정리에 적용한 결과 소멸위기마을이 1408개(32%)로 나타났다. 기존 지방소멸위험지수가 읍·면·동 중심의 지표라면 마을소멸지수는 농촌마을(행정리)을 대상으로 한 지표라는 점에서 확연히 구별된다. 지방소멸위험지수를 충남농촌마을에 적용할 경우 대부분 마을이(약 91%) 소멸위험지역에 해당해 마을소멸지수 분석과 차이가 난다.

어떤 측정치를 들이대도 농촌마을이 사라질 위해에 직면해있 건 사실이다. 마을소멸지수는 고위기, 위기, 진입, 보통, 낮음, 매우 낮음 등 총 6개 단계로 나뉜다. 이에 따르면 충남 15개 시·군 4394개 행정리 중 소멸위기마을은 1408개, 고위기 마을은 337개(7.7%), 위기 마을은 1071개(24.4%)다. 소멸 진입단계에 있는 마을도 1320개(30.0%)나 된다. 마을소멸지수는 지방소멸위험지수에서 사용한 자연적 인구 증감 뿐 만 아니라 사회적 인구 증가 요인과 마을소멸속도 조절 같은 다양한 지표를 추가했다는 점에서 농촌현실을 제대로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농촌의 소멸 애기가 나온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구 3만명 선을 간신히 유지하는 군이 여럿이다. 농촌지역은 도시보다 저출산, 고령화의 속도가 빠르다. 농촌지역에서 아이울음소리가 끊긴지 오래다. 청년들은 도시로 빠져나가 일할 사람 찾기조차 어렵다. 반면 고령층 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충남·북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면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다. 농촌이 점차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농촌마을 소멸이라는 경고등이 켜진 만큼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서천군(63.5%), 부여군(56.4%) 등 소멸위기마을 비중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각별히 신경 쓸 필요가 있다. 항상 나오는 얘기지만 사람 중심의 농촌마을 활력 되살리기 정책이 긴요하다. 의료 사각지대 해소, 도시와 농촌의 소통, 정주여건 개선 및 일자리 창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