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도지사 협의 거쳐 위원장 선임
결재선 간소화로 업무 효율 제고 기대
경기장 건립 지연 따른 대책 마련 ‘숙제’

2027년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구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충청권 공동 유치. 그래픽=김연아 기자
2027년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구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충청권 공동 유치.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원회의 컨트롤타워가 단일체제로 전환됐다.

그동안 4명의 공동위원장 체제가 단일화되면서 업무 효율화를 통해 산적한 현안 해결에 힘을 집중시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4일 조직위에 따르면 이날 세종에서 충청권 시·도지사와 체육회장, 대한대학스포츠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위원총회가 개최됐으며 단일위원장 체제 전환을 위한 정관 개정과 위원 추가 위촉 등이 이뤄졌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이날 정관 개정에 따라 공동위원장을 사임, 명예위원장으로 추대됐다.

단일위원장 선임 전까지 이창섭 부위원장이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게 되며 위원장은 추후 4개 시·도지사 등의 협의를 거쳐 선임될 예정이다.

앞서 조직위 단일위원장 체제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됐다.

올 상반기엔 사무총장·부위원장 선임 문제를 두고 대한체육회와 문체부의 갈등이 이어지면서 조직위 출범이 발족 시한까지 넘기며 지연됐다.

당시 대한체육회는 사무총장과 부위원장의 단일화를 요구했다.

결재선 간소화로 업무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웠는데, 마찬가지로 공동위원장도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었다.

준비 부실로 파행을 초래한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사태도 단일체제 전환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게 조직위 측의 설명이다.

잼버리는 3개 정부 부처 장관을 비롯해 공동조직위원장만 5명에 달했는데, 이로 인해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은 전무했기 때문이다.

조직위원장을 단일체제로 전환하면서 조직위가 추진하는 업무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향후 선임될 위원장이 풀어나가야 할 현안들은 적지 않다.

우선 행정절차가 지연되면서 대회 전 준공이 불투명해진 대전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과 세종 종합체육시설 등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두 시설에서 각각 개회식과 폐회식이 예정됐었고 각 지역(대전 6종목·세종 4종목)에서 열릴 일부 경기의 무대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조기 준공을 위한 대응, 또는 준공이 불가능할 경우에 대비한 대안 마련 등이 주요 현안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대회 성공 개최를 위해선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을 비롯한 관계기관과의 소통과 대회·시설 점검에 대한 대비, 국내외 홍보 등에서도 성과를 보여야 한다.

조직위 관계자는 “공동위원장 체제보다는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전과 세종의 시설 준공과 관련해선 완전히 취소하거나 포기한 단계는 아니다. 기존에 플랜대로 진행하면서 틀어졌을 경우에 대비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