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치의학 변천사… 충청권은 버려졌다]
<글 싣는 순서>
①국내 치과대학·병원 50년간 단계적 변화 "충청권은 배제"
②치과의사 1인당 진료 전국 최다, 지역 인재 배출은 배제
③침묵했던 정치권, ‘기울어진 운동장’에 대응나설까
④지역거점국립대 충남대 ‘첨단융합 디지털 치과대학’ 방점

④지역거점국립대 충남대 ‘첨단융합 디지털 치과대학’ 방점
충남대 ‘대전특화 첨단융합 디지털 치과대학’ 설립안 제시
치의학 통합 의료 빅데이터 구축, 플랫폼·디바이스 개발 계획
“신설시 공공치의료 서비스 불균형·입시 역차별 문제 해소 예상”

충남대학교 정문. 충남대 제공
충남대학교 정문. 충남대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와 정치권이 미래산업의 한 축으로 치의학을 내세우자 상대적으로 관련 인재 양성 기반이 미흡한 충청권에선 각종 우려가 제기된다.

그 중 하나는 전폭적인 지원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인데, 대전에선 이에 대응해 충남대가 첨단산업 융합과 디지털을 키워드로 치과대학 신설에 발벗고 나섰다.

15일 충남대에 따르면 대학본부는 ‘대전특화 첨단융합 디지털 치과대학’을 설립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보운캠퍼스 내 5000여㎡ 규모의 부지를 활용해 치과대학을 세우고 인근 충남대병원과도 연계성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치의학 산업 지원이 본격화되면 관련 연구·개발(R&D) 비용도 대거 투입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앞서 2015~2019년 5년간 정부 연구비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만 5600억원 이상이 지원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치의학 인재 양성은 의사 배출보다 연구·개발과 타 첨단산업과의 융합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 충남대의 치과대학 설립안은 이러한 정책적 방향성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충남대는 치의학 분야 통합 의료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디지털 치의학 분야를 이끌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 첨단분야와 연계해 치의학을 융합·연구할 인력 확보와 치의학 산업군의 산학 협력을 통해 인재 배출 기반을 닦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문 인력 양성하고 지역 내 정주까지 유도하겠다는 게 충남대의 복안이다.

지난해 선정된 충남대병원의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와 신동지구 과학벨트에 추진 중인 바이오산업 융합 클러스터도 연계 가능성이 높다.

큰 틀에선 대전시 전략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의 육성과도 연계되며 향후 국립치의학연구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대로 충청권에 들어서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충남대는 치과대학이 신설되면 지역 내 공공치의료 서비스의 불균형과 입시에서의 역차별 등 문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교육계와 의료계 일각에선 내년 상반기가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충남대는 이달 중 교육부에 치과대학 설립 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교육계에서는 내년 초 교육부의 보건의료계열 정원 조정이 추진돼 3~4월 중에는 정원 심사와 대학별 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다만 충남대의 계획은 중앙부처 검토과 의료계의 여론, 타 권역과의 조정 가능성까지 안고 있어 단일 대학이 홀로 풀 수 없는 난제로 꼽힌다.

교육계 안팎에서 정치권의 적극적인 협력과 함께 지역 내 여론 형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 충남대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대전지역 거점대학 치과대학 설립을 위한 범시민 서명운동을 추진 중이다.

대학 관계자는 "첨단분야와 융합된 디지털 메디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계획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공감대 형성에 주력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끝>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시험실로 향하고 있다.
치과의사 국가 실기시험에 응시한 예비 치과의사들이 시험실로 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