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커리큘럼 교양수업이 더 많아
전공 선택권 충분히 보장받지 못해
자유·자율전공과 중도탈락률 9.9%
평균 중도탈락률보다 약 2배 높아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무학과·무전공’과 비슷한 자유전공학과(부) 또는 자율전공학과(부)를 경험한 학생들은 정부의 무학과 확대 기조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1학년 전공 탐색의 기간이 사실상 무의미했으며, 무엇보다 대학 및 학과의 소속감이 결여돼 있다 보니 입시를 다시 치르는 ‘고등학교 4학년’의 삶도 부지기수라는 것이다.

8일 충청권 대학가에 따르면 학사 과정의 자유전공학과, 자율전공학과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무학과와 일맥상통한다.

특정 학과에 소속되지 않은 채 입학해 1학년 전공 탐색의 시간을 거쳐 2학년 때부터 특정학과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론적으로 보면 학생의 전공 선택권을 충분히 보장하는 제도이나, 실제 이를 경험한 자유·자율전공 학생들은 만족보다 실망스러움을 강하게 표현했다.

1학년 커리큘럼이 교양수업에 치우쳐 여러 전공을 폭넓게 경험하기 어려웠다거나, 향후 유전공 입학 학생과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충분한 탐색 없이 전공을 설정해야 했다는 의견도 상당했다.

충청권 소재 사립대 자율전공학과에 재학생인 A(21)씨는 "새학기에 2학년이 되지만 전공을 못 정했다"며 "기초 교양수업만으로 진학, 전공을 고르라는 것은 무리"라고 토로했다.

특히 자유·전공은 결국 흩어진다는 특성상 소속감이 약하고 이로인해 학교 자체를 다시 선택하려는 분위기가 강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무학과 확대는 학과와 함께 학교 재탐색, 재선택으로도 이어져 지방대 입장에선 힘들게 모집한 재학생이 이탈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 본보가 대학정보포털인 대학알리미에서 지난해 충청권 대학 1612개 학과의 중도탈락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은 5.4%였지만 학과명에 ‘자유’ 또는 ‘자율’이 들어간 10개 학과는 9.9%로 약 2배 높았다.

대전지역 대학생 B(25)씨는 "반수뿐만 아니라 전공 기초가 부족해 휴학하는 자유전공 학생도 많이 봤다"며 "무작정 무학과를 늘릴 게 아니라 고등학교 과정부터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충청권 소재 국립대 관계자는 "1학년 전공 탐색 과정에서 학생의 진로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재수나 반수를 염두 할 수도 있다"며 "교육부 정책으로 급증할 무학과 학생의 관리 문제는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진단했다.

충남지역 자유전공학과 교수는 "수업에서 기존 학과 학생과 자유전공 학생 간 차별도 분명히 존재한다"며 "무학과 확대는 학생의 콤플렉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교육부는 2025~2026학년도 입시에서 수도권대학과 국립대에 적용할 무학과 확대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하는 계획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김중곤 기자·함성곤 수습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