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23년 12월 14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진학사 정시 합격전략 설명회를 찾은 학부모들이 입시 지원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2023.12.14 사진=연합뉴스.
2023년 12월 14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진학사 정시 합격전략 설명회를 찾은 학부모들이 입시 지원 참고표를 살펴보고 있다. 2023.12.14 사진=연합뉴스.

교육부가 최근 대학 무전공 입학 확대 방안을 발표하자 곳곳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넓혀 우수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가 하면 위기를 맞은 지역대학의 어려움을 가속화하는 원인이 될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대학들이 신입생 모집 시 입학정원의 최대 25%까지 무전공으로 선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학과나 학부 사이 벽을 허물어 융합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대학혁신지원사업 개편안 시안 등에 따르면 무전공 모집은 2025학년도부터 수도권 사립대의 경우 정원의 20%, 국립대 25% 이상, 2026학년도에는 각각 5% 더 늘리는 방안이 담겨 있다. 무전공 모집은 신입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후 정공을 택하는 방식과 계열 또는 단과대 등 광역단위로 모집한 뒤 모든 전공을 100% 자율 선택하거나 학과 정원의 150% 범위 내 전공을 택하는 두 가지 유형이다.

교육부 계획대로 무전공 모집을 늘리면 막대한 국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어 다수 대학들이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무전공 입학 확대로 적잖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인데, 대표적으론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은 인문학이나 기초과학 등이 폐과될 가능성이 높다. 이공계 중심이 아닌 종합대학의 경우 도입 과정이 쉽지 않은 데다, 대학 기반을 흔들거나 산업인력 수요 불균형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무전공 입학 확대는 학생들에게 학문의 선택권을 넓히고 미래에 꼭 필요한 융합형 인재 양성 기회를 열어준다는 점에서 분명 환영할 일이다. 다만 이미 대학 내 전과나 다전공 등 다양한 학사제도가 운영되는 만큼 무전공 모집 제도만의 차별화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기초학문 폐과, 산업인력 불균형 문제 등 다양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학들과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교육정책은 백년지대계라는 점을 절대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