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협력 등 구축 요건 갖춰
대덕특구 기반 인력·기업 인프라
24개 기관 반도체 인재양성 협약

▲ 대덕특구 전경.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제공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과학기술계가 국가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허브도시’로 대전을 지목하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반도체 분야) 지정 당위성을 피력하고 나섰다.

대전은 연구 기반 시설, 풍부한 인력 자원, 산·학·연 간 협력 등 반도체 특화단지 구축을 위한 자격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공모의 핵심은 새로운 시설 건립이나 협력 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생태계가 마련돼 있는지 여부다.

지난 1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가 참석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설명회’에서 이런 점이 강조된 바 있다. 평가 항목으로 △기반 인프라 확보 여부 △지역 주요 산업과 첨단전략산업 간 연계성 △전문인력 확보 △지자체의 도시·산업 계획과 연관성 등을 설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 분야 기반 시설과 제반 여건을 탄탄하게 갖추고 있는 곳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구조다.

김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대전의 가장 큰 강점은 반도체 관련 인재 확보와 기술 경쟁력에서 다른 지역을 압도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특화 단지 충족 요건인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소나 인력, 기업이 기본적으로 자리잡고 있고 나아가 교통, 주거환경 등의 요소도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대전시가 특화단지 지정 공모에 앞서 준비 단계부터 유치 전략 마련을 위한 협의체를 출범시켰다는 점도 지정 당위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지역의 대학, 출연연, 산업체 등 약 30곳이 모여 ‘반도체산업 육성 발전협의회’를 꾸렸고, 최근에는 24개 기관이 반도체 인재양성을 위한 협약까지 했다.

이와 함께 세계적인 시스템반도체 분야 기업이 위치해있고, 세계 도시에서 과학기술 집약도가 우수한 곳으로 인정 받은 점도 강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출연연 한 관계자는 "일각에선 대전에 대기업이 없다는 점을 약점으로 꼽지만, 대전에는 세계 시스템 반도체 업계 10위권, 삼성 등에 버금가는 LX세미콘이란 기업이 있다"며 "더불어 카이스트에 PIM 반도체 설계연구센터를 구축하고 있고, 과학기술 집약도 전세계 3위 도시 등을 기록한 대전이야 말로 반도체 특화단지로 적합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이번 공모에 대덕연구개발특구 1·2·3지구와 상호 연계가 가능하며 기존의 탄탄한 기반시설을 공유할 수 있고, 용수와 전력 등 반도체 기반시설 구축이 용이한 지역으로 후보지를 신청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