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지역대, 정부 인재양성정책 대응 동분서주
매년 1000명 양성 계획에 일각 우려 목소리
“산업 수요 어긋나 과다 배출땐 갈 곳 잃어”
‘잘 키운 지역 인재’ 수도권 유출 가능성도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윤석열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힘을 싣고 있는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에 대전시와 지역대학들도 동분서주하고 있다.

반도체를 통해 대전만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지만 교육계에선 산업 생태계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인재 유출과 잉여 인력 배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교육계에 따르면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은 10년간 15만명의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며 대학 정원 증원과 각종 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는 반도체 산업이 연평균 6.2% 성장, 인력 수요가 5.6%씩 증가할 경우 10년간 12만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할 것이란 전망을 바탕으로 한다.

대전시는 이러한 정부 기조에 발맞춰 지역대학과 함께 연간 인력 1000명을 배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대학가에선 이를 우려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우선 인력 과다 배출로 인한 잉여 인력 발생 등 지적은 정부의 방안 발표 이후 꾸준히 이어졌다.

향후 산업계의 인력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는다면 취업 전선에 내몰린 학생들이 갈 곳을 잃게 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과거 대학가에선 이공계 산업 인력 배출을 목표로 추진됐던 프라임사업(2016~2018년)으로 인해 학생들의 취업난과 대학의 미충원 사태 등이 야기된 바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산업군에 정부의 정책이 쏠릴 경우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 역시 이러한 우려를 인지하고 대학과 산업·연구계 등이 산업 동향을 공유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반도체는 사이클(산업의 경기 순환) 영향을 크게 받는 데다가 기술 변화에 따라서도 인력 수요 변동이 크다”며 “4년 뒤 양성한 인재 규모와 산업 수요가 딱 맞아 떨어질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에 대응해 협업센터 등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지역에선 메모리와 시스템, 파운드리, 소부장, 팹리스, 패키징 등 다양한 반도체 분야 중 어떤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것인지 여부가 관건이다.

대전시의 경우 시스템 반도체와 팹리스를 중심축으로 내세우고 있는 상태다.

문제는 반도체 산업에서도 빚어지고 있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할 방안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경기 용인에선 SK하이닉스 반도체클러스터에 이어 시스템 반도체클러스터를 유치했고 이를 주축으로 경기지역을 관통하는 거대한 반도체 벨트까지 구상 중이다.

이 때문에 차별화 된 전략이 없다면 지역 내에서 육성한 반도체 인재들도 수도권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세환 한밭대 산학융합학부 교수는 “정부의 방안보다는 현재 인력들에 대한 임금 인상 등 처우 개선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특히 인재들을 잘 육성하더라도 대기업들이 위치한 수도권으로 향할 가능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