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충청권 생산가능인구 증가세 둔화… 경제활동인구에도 영향
산업 실질부가가치는 대전만 저성장, 저출산·고령화 대응 노동시장 정책 必

구직자=충청투데이 그래픽팀.
구직자=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2030년, 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로 충청권 노동시장에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0~2030년 지역별·산업별 인력수급 전망’을 보면, 2030년까지 지역 생산가능인구는 연평균 2.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세종을 제외하고 대전 0.4%, 충남과 충북 0.2%의 생산가능인구 증가가 예상된다.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인구구조 변화도 점차 속도를 내며 충청권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충청권 생산가능인구는 2015년 456만 1000명에서 2020년 486만 7000명으로 증가했다.

대전과 충남은 생산가능인구가 각각 4000명, 4만 1000명 가량 감소했고 충북은 증가했다.

세종의 경우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의 이전으로 인한 대전·충남지역 인구흡수로 28만 7000명이 증가했다.

지역생산가능인구가 둔화하면서 경제활동인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2025년에서 2030년 사이 세종을 제외한 모든 충청지역에서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은 인구 유입이 꾸준히 이뤄지며 2020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2.3%의 증가율로 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산업 실질부가가치 전망에서는 지역 간 희비가 갈렸다.

산업연구원의 실질부가가치 성장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대전은 전국 연평균 성장률보다 낮게 성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북은 연평균 3.7%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할 것으로 꼽혔고, 충남은 2.9%, 세종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성장이 점쳐진다.

세부 산업 가운데 충청권 건설업의 실질부가가치 비중이 2020년 대비 2030년에 증가하며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전·충남권은 농업·임업 및 어업과 제조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업에서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나머지 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권은 광업, 제조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업에서 인력 수요가 늘고 전기·운수·통신·금융업에서 정체, 나머지 산업은 감소가 예상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저출산, 고령화로 급변할 노동시장에 대응하는 정책 마련을 조언했다.

정재현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도 단위에서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청년층 유입은 줄어들기 때문에 청년층 유입정책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이 요구된다”며 “각 산업별 취업자 수를 증가시키기 해서는 산업별 실질부가가치를 증대시키는 고도화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