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연구팀, 미세·나노플라스틱 흡수 원리 규명

노출식물로부터 수확된 완두 및 후세대 식물로 전이된 나노플라스틱. 한국연구재단
노출식물로부터 수확된 완두 및 후세대 식물로 전이된 나노플라스틱. 한국연구재단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식물이 토양에서 흡수한 나노플라스틱이 열매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이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학교 안윤주 교수 연구팀이 완두를 대상으로 미세·나노플라스틱의 이동을 관찰한 결과,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식물에서 생산된 열매와 그 열매에서 성장한 후세대 식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서 식물이 토양환경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을 흡수하는 원리를 규명했다.

식물이 흡수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줄기와 잎 등 식물의 상부조직까지 도달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독성연구 표준시험종인 완두를 대상으로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시켜 열매인 완두콩 및 다음 세대 식물로의 전이를 연구했다.

200nm 크기의 형광 폴리스티렌 미세·나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에 완두를 약 60일간 노출시킨 후 완두콩을 수확했다.

수확한 완두콩을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완두콩의 배아와 떡잎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또 수확한 완두콩을 미세·나노플라스틱에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 다시 심어서 14일간 배양한 뒤 관찰한 결과에서도 표피보다 세포 간 및 세포 내 공간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관찰됐다.

이는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외부에서 유입되지 않고, 수확한 완두콩 내 배아와 떡잎에 분포했던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식물 전체 세포로 이동한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안윤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식물이 생산한 열매와 그 열매로부터 기인하는 후세대 식물로의 미세·나노플라스틱의 순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라면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인간과 동물이 섭취하는 열매에 전이돼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환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해저드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지난달 14일 온라인에 실린바 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