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문·편집국 정치행정부 기자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이상한 일이다.

4년에 한번 치러지는, 국가적으로 중차대 한 시험에 결점이 있어 범위와 성적 반영 방식 등을 바꿔야 한다던 주관 기관이 아직까지 이렇다 할 개선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올해 시험이 불과 두 달 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도 수험생들의 시험 준비 가이드 라인이 될 구체적인 시험 범위는 정해지지 않았다.

또 성적 반영 방식 변경에 있어서는 수험생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충돌하며 공통된 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 개선도 쉽지 않은 상태다.

때문에 이번 시험에 처음 도전하는 수험생들은 불확실성을 안고 있음에도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막막하게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그동안 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아 봤거나 수 차례 경험한 수험생들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모습이다.

게다가 일부 수험생 그룹은 자신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요소를 시험 방식에 반영시키기 위해 주관 기관의 혼란 마저 초래하고 있다.

언뜻 국가 고시와 관련된 얘기 같지만 오는 4월 실시를 앞둔 제22대 총선의 현재 상황에 대한 비유다.

시험 범위라 할 수 있는 선거구획정은 지난해 4월 마무리 됐어야 하지만 여전히 표류하고 있고, 시험 성적이나 마찬가지인 당선자 선출을 결정짓는 선거제도 개편 논의는 사실상 무산됐다고 해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

앞서 지난해 12월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서울과 전북 각각 1석 감석, 인천·경기 각각 1석 증석 등을 골자로 한 22대 총선 선거구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음에도 확정 시점은 예상할 수 없는 상태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여야를 중심으로 현행 소선거구제 대신 중대선거구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선거제도 개편 필요성이 급부상했지만 총선을 70여일 앞둔 현재는 지역구 얘기는 빠지고 비례대표 선출 방식에 대한 여야의 신경전만 벌어지고 있다.

사실 지금과 같은 선거판 혼란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 않다.

오히려 정치권 안이나 밖에서 공통적으로 ‘기득권 유지를 위한 욕심’을 지목한다.

이상한 느낌을 넘어 매번 선거 때마다 수상하기까지 한 정치권의 ‘선거룰’ 갈등, 유권자의 정상적인 의사 결정을 통한 평가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