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철도노조 파업 사흘째인 16일 오전 대전역에 설치된 전광판에 일부 열차 운행 취소를 알리는 공지가 나오고 있다. 2023.9.16 사진=연합뉴스.
철도노조 파업 사흘째인 16일 오전 대전역에 설치된 전광판에 일부 열차 운행 취소를 알리는 공지가 나오고 있다. 2023.9.16 사진=연합뉴스.

지난 14일부터 진행된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1차 총파업이 닷새 만에 종료됐다. 4년 만에 진행된 철도노조 총파업으로 철도를 이용하는 국민들이 적잖은 불편을 겪었다. 철도 운행 횟수가 평균 30%가량 줄어 미리 예매했던 기차표가 취소돼 여행을 계획했던 많은 사람들이 일정을 취소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파업 기간이 주말과 겹치면서 지인이나 가족의 결혼식에 늦거나 아예 참석하지 못했다는 불만도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시멘트 등 철도운송 의존도가 높은 산업현장도 적잖은 혼란이 발생했다. 화물열차 운행률이 평소 절반도 되지 않아 물동량은 6만t에서 2만t으로 크게 줄어 타격이 컸다. 국토교통부 집계 결과, 파업 기간 열차 운행률은 71%였다. 출근 대상자 2만8148명 중 8263명(28.8%)이 파업에 참가했다. 코레일은 파업에 따른 피해액이 75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노조 측이 향후 무기한 2차 파업을 예고하면서 또 철도대란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파업을 두고 일각에선 정당성이 퇴색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 파업 명문으로 내세운 것이 KTX와 SRT 통합 문제다. 2016년 운행을 시작한 SRT는 KTX와 분리 운영돼 철도민영화 수순이란 주장이지만, 정부는 철도 경쟁체제 도입 이후 이용자 만족도와 편익이 높아졌다고 분석한다. 철도 경쟁체계가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 만큼 철도 독점 운영의 당위성과 효율성 그리고 합리성을 국민 누구나 납득하도록 설득하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노조가 주장하는 4조2교대 전면 시행과 임금 인상 또한 충분한 대화를 통해 절충점을 찾아가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본다. 철도 노동자의 권리는 존중받아 마땅하지만 공기관 경영평가에서 2년 연속으로 최하 등급을 받은 사실을 뒤돌아 봐야한다.

코레일의 경영 정상화도 시급한 과제다. 20조원에 달하는 적자에도 수억의 성과급을 받아가는 경영구조는 짚고넘어가야할 부분이다. 철도는 국가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대동맥이자 국민이 믿고 신뢰하는 교통수단이란 점에서 파업이 아닌 철도서비스 현장에서 정당성을 얻는 것이 옳은 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