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문·편집국 정치행정부 기자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18만 4228명, 19만 6907명, 17만 8727명, 18만 5012명.

지난 1월 기준 비수도권 광역시인 부산, 대구, 광주, 울산의 선거구 평균 인구 수다.

반면 대전의 선거구 평균 인구는 20만 6544명으로, 비수도권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이유로는 비수도권 광역시 중에서도 유독 대전이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구 수에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정치권의 분석이 합당해 보인다.

그동안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는 지속적으로 대전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특히 대전시의회에서는 2008년, 2011년, 2013년에 이어 올해 또다시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 관련 건의안을 꺼내들며 지역 여론 결집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의회 구성원과 시기는 다르지만 모두 대전의 선거구 평균 인구 수가 다른 자치단체 대비 높다는 점을 들어 증설을 요구하는 점은 공통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난 1월 기준 대전의 전체 인구는 144만 5806명으로, 비수도권 광역시 중 부산(331만 6107명), 대구(236만 2880명)의 뒤를 잇고 있다.

인구 수가 가장 비슷한 광주(142만 9816명) 보다도 1만 5990명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현행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구 수를 놓고보면 대전은 7개, 광주는 8개로 인구 규모와는 동떨어진 결과가 수 년 째 지속되고 있다.

심지어 대전보다 인구가 33만 5732명 적은 울산(111만 74명)은 6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를 가지고 있어 단 1개 차이에 불과한 상황이다.

만약 대전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구가 1개 늘어난다면 선거구 평균 인구는 약 18만 725명으로 현재보다 2만 5818명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광주와의 선거구 평균 인구 격차 역시 2000명 아래로 떨어지는 만큼 상대적으로 기울어져 있던 표의 등가성 개선도 기대해 볼 만 하다.

물론 국회의원 지역구 선거구 증설이 숫자 하나를 늘리거나 줄이는 단순한 문제는 아니다.

그럼에도 대전의 선거구 증설은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정치적 이해 관계를 떠나 유권자의 투표 가치만을 바라본다면 그 필요성은 분명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