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 달라진 강수형태 대응 차원 검토 필요…정기적 준설로 홍수 예방해야
[반대] 준설후 1~2년 지나면 퇴적물 쌓여 원상 복구돼…단기적 미봉책에 불과

지난 14일 오후께 대전 대덕구 대화동 갑천 수위가 불어나 산책로 등을 뒤덮고 있다. 이날 오후 3시를 기해 대전 전역에 호우경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경찰은 갑천 수위 상승으로 대전 만년교, 원촌교 통행을 통제 중이다. 2023.7.14 사진=연합뉴스.
지난 14일 오후께 대전 대덕구 대화동 갑천 수위가 불어나 산책로 등을 뒤덮고 있다. 이날 오후 3시를 기해 대전 전역에 호우경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경찰은 갑천 수위 상승으로 대전 만년교, 원촌교 통행을 통제 중이다. 2023.7.14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매년 반복되는 홍수경보·주의보를 막기 위해 대전 3대 하천에 대한 준설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선 찬반 의견이 맞서고 있다.

우선 지역 환경단체에서는 ‘하천 준설’이 홍수재해 예방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며 하천준설 사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고 있다.

또 하천 준설은 단기적인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하천 정비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은영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준설은 단기적으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될 수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의 해결책이 될 순 없다”며 “아직 대전은 하천이 제방을 넘어 도로를 덮치는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배후습지나 초지를 넓히는 방향으로 하천정비 계획을 세워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하천 준설에 앞서 징검다리와 같은 횡단구조물이나 보 등의 구조물이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정비가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준설이 실제 홍수에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해야 하는데 1~2년이 지나면 퇴적물이 쌓여 원상 복구되는 하천 준설 사업은 홍수 예방에는 효과가 없다”며 “만약 준설을 하더라도 이에 앞서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는 인공시설물 등을 철거하는 하천 정비가 완료하고 실효성을 충분히 검토한 뒤 추진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집중호우가 잦아지는 우리나라의 강수형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하천 준설 사업은 추진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김규범 대전대 재난안전공학과 교수는 “하류로 갈수록 더 많은 물이 모이는데 퇴적물이 쌓여 하천의 단면이 줄어든 상태에서 많은 물이 모이면 하천은 범람할 수밖에 없다”며 “중·하류 지역 하천의 유량을 늘리는 차원에서 일정 부분 준설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럽의 다뉴브 강 같은 경우는 홍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지만 정기적인 준설로 홍수를 예방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하천준설에 대한 거부반응이 좀 있는데 기후변화가 심해지는 만큼 하천준설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추진 구간과 주기 등에 대한 충분한 기술적 검토를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생태환경에 문제가 없는 수준의 충분한 주기와 계획으로 준설로 인한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