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명 선발에 지원자 200명 넘어
지역 노인 위한 일자리 개발 절실

쪽방촌의 한 어르신이 약봉지를 만지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쪽방촌의 한 어르신이 약봉지를 만지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지방자치단체나 노인단체가 실시하는 공공일자리사업은 형편이 어려운 지역 노인들에게 ‘가물에 단비’ 같은 존재다.

당장 공과금을 내거나 끼니를 때울 수 없는 상황에서 월 27만원의 고정 소득은 숨통을 트이게 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공공일자리를 갖기 위해 얼마나 치열한 ‘빈곤 경쟁’이 벌어지는 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대전 신도심 기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로 30명 선발한다고 공고하면 통상 200~300명의 지원자가 몰린다.

때문에 최종 선발 대상자는 기초연금을 제외한 다른 현금 지원 대상이 아니면서 본인명의 집이 없고, 소득 인정액이 0원에 수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난 경쟁에 밀려 일자리사업에 떨어지면 폐지나 공병을 줍는 삶이 시작되는 게 저소득층 노인 삶의 현실이다.

게다가 바늘구멍 같은 경쟁률을 뚫어도 넉넉한 삶은 허락되지 않는다.

공공일자리 급여(약 27만원)는 1인가구 최저생계비(약 120만원)에 한참 못 미칠 뿐 아니라 약 1년 정도 근무하고 나면 다시 경합을 치러야 한다.

임송은 대전보건대 사회복지과 교수는 “고령층은 신체·인지기능 저하를 스스로 체감하면서 활동반경을 가정 내로 좁히고 장기적 우울감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연령대”라며 “이 모든 심리적 압박을 이겨내고 세상 밖으로 나온 노인들에게 충분한 일자리와 소득을 제공해야 노인 고독사·빈곤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생활고에 시달리는 노후는 비단 지금의 저소득 노인 세대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한국은행 동향분석팀 등이 ‘은퇴 이후 소득절벽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연령별 월평균 소득은 58세(311만원), 68세(180만원), 75세(139만원)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급격한 감소폭을 보였다.

현재는 평탄한 소득수준을 유지중이라고 할지라도 오랫동안 일해 온 전문 분야에서 벗어나면 안정을 장담할 수 없는 셈이다.

젊은 세대가 양질의 노인일자리 마련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다.

김학만 우송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기초·광역지자체가 지역 노인들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예를 들면 ‘한산모시’처럼 노인만이 전문성을 가질 수 있는 일을 발굴해 일자리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전의 경우 노인이 많은 원도심은 손자·손녀 돌보미, 신도심은 스마트폰 활용이 어려운 사람을 대상으로 한 길안내 도우미 등이 좋은 일자리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