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때마다 평균적으로 1469.2t 발생
철거·운반·폐기 과정서 사회적 비용 多
합성수지 등 분해 잘 안돼 환경도 오염

폐현수막. 사진=연합뉴스.
폐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총선을 앞두고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현수막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폐현수막은 대부분 재활용이 어려워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과 환경적 영향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의 ‘2020~2022년 전국 선거용 폐현수막 발생량’ 자료에 따르면 선거마다 평균적으로 1469.2t의 폐현수막이 발생하고 있다.

21대 총선에서는 1739.5t, 20대 대선에서 1110.7t, 8대 지방선거에서 1557.4t의 폐현수막이 발생해 많은 양의 폐기물 처리가 필요했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월 정당 현수막의 개수와 설치장소를 제한하고 표시 내용 등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개정 옥외광고물법’이 시행했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여전히 많은 수의 현수막이 곳곳에 설치돼 있는 것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현수막의 무분별한 사용은 선거가 끝난 후에도 철거, 운반, 폐기 등의 과정에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 폴리에스터, 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 잘 분해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최근 선거에서 사용된 4407.6t의 현수막 중 재활용된 비율은 단지 24.3%(1067.3t)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 처리됐다.

소각 시에는 t당 평균 4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고, 온실가스와 유해물질이 배출돼 환경오염 문제를 한층 더 심화시킨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시도별 폐현수막의 재활용 실적에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충청권 지역에서는 11장 중 단 1장만 재활용되는 등 전반적으로 낮은 재활용률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17개 시도별 폐현수막 재활용 비율을 보면 울산이 68.7%로 가장 높았고, 충남(21.9%)은 5위로 상위권에 속했다.

하지만 대전(8.1%)과 충북(4.9%), 세종(0%)은 낮은 편이다.

이러한 재활용률의 지역별 차이는 주로 재활용 업체의 숫자와 인프라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시도별로 재활용 업체의 숫자도 차이가 있고, 인프라 자체가 갖추어지기 어려운 환경의 지역도 있는 등 차이가 있다 보니 이에 따른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