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민주의거]
지난해 국가유공자 승인 받은 6명
2명은 이미 세상 떠나… 대부분 연로
경찰 곤봉 세례로 장애 생긴 송병준
학생 보호하다 고초 겪은 교사들도
국가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상태
더 늦기 전에 유공자 발굴 힘써야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3·8 민주의거에 160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지만 국가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은 경우는 단 11명 뿐이다.

당시 의거 참여자와 관련자들은 현재 80대에 접어들며 대부분 연로하거나 사망해 생전에 한 명의 유공자라도 더 인정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현재 3.8민주의거 국가 유공자는 11명(대전 거주 2명, 타 지역 거주 6명, 사망 3명)이다.

이중 6명은 지난해 뒤늦게 승인을 받았는데 이미 세상을 떠나 고인이 된 2명도 포함돼 있다.

2018년 3.8민주의거가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첫 해 30명이 국가유공자로 신청을 했으나 시위 계획과 과정 등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한 사실이 객관적 자료로 확인되지 않아 모두 불발됐다.

이후 2022년 19명이 추가로 신청했지만 13명이 탈락해 나머지 6명만이 지난해 인정을 받은 것이다.

현장에서 경찰들의 곤봉 세례로 장애를 안고 살게 된 학생 송병준과 학생들을 보호하려다 고초를 겪은 조남호, 금종철 교사는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대표적 사례다.

당시 대전고 학도호국단 중대장이었던 이정치(82) 씨 역시 누구보다 앞장서 시위를 이끌었음에도 국가유공자 신청은 두 차례나 반려됐다.

이 씨는 "유공자 신청 당시 시위에 함께한 조남호 선생님이 직접 써준 증명서도 첨부했지만 인정이 안 됐다"며 "처음엔 억울하고 답답했지만 지금은 단념하게 됐다. 처절하고 뜨거웠던 순간을 당사자 외엔 누구도 관심이 없어 보여 더 무력해지는 것 같다"고 씁쓸한 웃음만 지었다.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측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의거 당시 자료 발굴 활동이 활발하지 못한 점을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김영광 3·8민주의거기념관건립추진위원장은 "3·8민주의거는 타 지역 민주화운동에 비해서도 자료가 적다"며 "민주주의의 단초 역할로 작용한 의거였던 만큼 더 늦기 전에 유공자 인정을 위한 역사적 자료 발굴에 힘써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반면 대구 2.28 민주운동의 참여자는 1200여명으로 대전보다는 적은 인원이 참여한 의거임에도 유공자 선정은 대전보다 많은 13명이 인정을 받은 상태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3·8민주의거 유공자 선정은 4·19혁명 포상과 함께 신청 접수가 이뤄져왔고, 올해도 신청 접수가 따로 진행될 것"이라며 "신청에 의한 심사 외에도 당시 관련 문서 확인, 관련 학교 방문 등의 발굴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오며 유공자 선정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제64주년 3·8 대전 민주의거 기념일 사흘 앞둔 5일 시청역 로비에서 기념사진전이 열려 시민이 당시 사진과 자료를 관람하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제64주년 3·8 대전 민주의거 기념일 사흘 앞둔 5일 시청역 로비에서 기념사진전이 열려 시민이 당시 사진과 자료를 관람하고 있다. 이경찬 기자 chan853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