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초부터 공공서비스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과일, 채소 등 농산물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서비스 물가마저 크게 올라 서민들을 옥죈다. 신선식품지수가 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물가불안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1월 물가 상승률은 2.8%로 6개월 만에 3%대 이하로 떨어졌지만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 2%를 훌쩍 뛰어넘는다. 대내외의 불안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안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2021년 10월 6.1% 오른 뒤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라고 한다.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는 공공서비스 물가는 0∼1% 내외에서 소폭 등락하는 것이 보통이다. 시내버스·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요금과 외래·입원진료비와 같은 병원비가 1월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예컨대 대전 시내버스 요금이 지난달 1일부터 1500원으로 250원 인상됐다.

여기에 대전시는 오는 29일부터 간선급행버스(BRT) B1 노선 요금을 300원 인상한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1700원이던 기본요금이 2000원으로 오른다. 대전∼세종 구간은 2300원으로, 대전∼오송 구간은 2600원으로 각각 300원씩 인상된다. 외래진료비는 1년 전보다 2.0%, 입원진료비는 1.9% 각각 올랐다. 세종시 등 8개 지자체가 일제히 하수도 요금을 인상하면서 하수도 요금이 3.9% 뛰었다. 요즘 기름 값도 슬금슬금 올라 운전자들의 부담이 크다.

일련의 물가상승은 인건비와 연료비 인상으로 인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한다. 2%대 물가 상승률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전혀 다르다. 직장인들이 점심을 먹으려면 1만원은 가져야 한다.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말한다. 이사철을 맞아 전세가격 오름세도 심상치 않다.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유가가 오르면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칠게 분명하다.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물가안정을 기해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