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적극적 지원 절실하지만 인센티브 정책 실효성 의문
열악한 설비·업무 강도 높은 제조업 ‘기피업종’ 인식 박혀
일각서 외국인 노동자 정책 개선 등 산업인력 확보 주장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중소기업과 청년의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놓고 지역의 중소기업들은 임금 보전과 함께 시설현대화, 근로환경 개선 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청년 취업자들의 임금격차 해소와 동시에 중소기업의 근무 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열악한 설비 등으로 인해 업무 강도가 높은 데다 근무환경이 녹록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됐다.

지역 제조업체 대표 A씨는 "근무 강도는 높고 환경은 열악해 외국인 노동자도 구하기 어려운 것이 중소 제조업의 현실"이라며 "청년들의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선 시설 현대화 등을 통한 근무 환경 개선에 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금 보전과 함께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 등을 동반해야 어느 정도의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외국인 노동자 정책 등을 통한 산업인력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청년세대에겐 ‘기피업종’이라는 인식이 박혀있는 제조업, 뿌리산업 등의 경우 인센티브 정책의 실효성이 더욱 떨어진다는 것이다.

지역 뿌리기업 대표 B씨는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는 정부의 정책이 아닌 사회적 구조적인 인식으로부터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정부의 정책으로 청년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어렵다면 실질적인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외국인 노동자 정책을 개선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정부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중소기업의 역량강화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지원만으로는 중소기업의 임금, 복지, 근무환경의 개선을 유도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배진한 충남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정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등을 확대해 기업이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자체적인 임금·복지 수준 향상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기업 차원의 근무여건 개선 역량이 있어야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떠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지역의 좋은 중소기업들을 청년들이 알고 찾아갈 수 있는 체계화된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병채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는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구조적 문제로 인센티브 정책 등의 대증요법으론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균형발전 차원의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수도권 집중현상 등의 산업구조를 개선하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제조업. 그래픽 김연아 기자.
제조업. 그래픽 김연아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