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행정구역당 4개 이상 있지만 시민들 위치 잘 몰라
北 무력도발로 시민 관심 높아지며 지자체들 점검 나서

대전 서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입구에 부착된 민방위 대피소 안내판. 김성준 기자
대전 서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입구에 부착된 민방위 대피소 안내판. 김성준 기자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최근 북한의 무력도발이 지속되면서 위급상황에 대피할 수 있는 민방위 비상대피소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고 있다.

8일 합동참모본부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7일 오후 4시부터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방에서 90여발의 포 사격을 실시했다.

지난 5일에도 북한이 백령도 북방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포사격을 실시하고, 우리 군이 맞대응 사격 훈련을 하면서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처음으로 연평도 전체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이날 연평도 주민 500여 명은 대피령에 따라 지역 비상대피소 11곳으로 나눠 대피했다.

이후에도 북한군의 포격이 사흘간 이어지면서 지역 비상대피소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상대피소는 민방위사태 발생 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지정한 시설이다. 민방위 경보 사이렌이 울리면 시민들은 지체 없이 대피소로 대피해야 한다.

대피소 위치는 휴대전화 안전디딤돌 앱이나 국민재난안전포털 등에서 검색해 확인할 수 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을 보면 충청 지역 비상대피소는 대전 746곳, 세종 166곳, 충북 435곳, 충남 440곳 등 총 1347곳이다.

대전의 경우 행정구역당 4개 이상의 비상대피소가 있지만 정작 지역 주민들은 대피소 위치를 모르는 등 여전히 대피 준비에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대전 유성구의 한 아파트 주민 김지민(36) 씨는 “우리 아파트에 비상대피소가 있는 줄 몰랐다. 처음 들어봤다”고 말했다.

북한의 연이은 무력도발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최근 지자체는 시설 점검과 보완에 나서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 5일 관내 민방위 비상 대피 시설에 대한 긴급 현장점검을 벌였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시청 지하 민방위 비상 대피 시설을 점검한 후 대피 시설로 지정된 보람동 호려울마을 5단지아파트 지하주차장으로 이동, 대피 시설 내 비상용품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점검은 정부세종청사 등 국가주요시설이 밀집한 지역 특성상 북한의 도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해 실시됐다.

세종시 관계자는 “세종시 대피 시설에는 응급처치함과 라디오, 확성기 등 7개 품목으로 구성된 비상용품함 570여개가 비치돼 있다”며 “긴급 상황에서 시민들이 비상용품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대피 시설과 비상 용품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