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민·대전본사 교육문화부 기자

조정민 기자
조정민 기자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지난해부터 발표된 사교육 경감대책부터 2028대입개편안, 고교학점제와 대학 무학과 확대 정책까지.

새롭게 시행되고, 바뀔 예정인 교육정책이 몇 가지나 된다.

현장 교사들은 물론 학부모와 학생들도 교육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꾸역꾸역 이해하고 있다.

특히나 이 정책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학생들은, 한 마디로 멘붕이다.

고등학생 때부터 진로를 고민해 관련 과목을 선택 공부할 수 있는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는 가운데, 대학교는 다양한 전공 공부를 통해 진로 결정 기회를 제공하는 무학과가 확대될 예정이다.

진로 먼저 정해, 근데 대학 갈 땐 관련 없을 거야, 하지만 고등학생 땐 진로 공부 먼저 해, 다만 대학 가서는 다시 시작이야.

청기백기 같은 정책에 혼란은 가중되고, 결국 도돌이표다.

어떤 사람은 그런다. 정책이 어떻든 일단 주어진 공부를 열심히 하면 되는 거라고. 글쎄, 내가 현재 시점 중학생이었다면 어땠을까.

이젠 내신, 수능, 논술, 면접까지도 대비하고 ‘다’ 잘해야 하는 시점이 온 건데, 당연히 사교육을 더 찾을 수밖에 없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제일 걱정되는 점은 고교학점제의 선택과목들을 감당할 교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유치원, 초등학교 학생 수 감소로 잉여 인력이 발생하니, 이 학생들이 언젠가 중·고등학생이 됐을 때를 대비해 교사 신규 채용이 갈수록 줄거나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의 취지는 학생들의 수요를 최우선으로 선택과목들을 최대한 편성하는 것이다.

이 같은 모순적인 상황이 계속되는데, 단순한 경제논리 대입으로 교사 정원 확충은 아마 절대 이뤄지지 않을 거라고, 현장은 이미 체념하는 분위기다.

이렇게 무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참 안타까웠다.

결국 최근 3년간 대전시 정규 교사 정원은 3500여 명에서 3300여 명으로 감소한 반면 기간제교사 정원은 723명에서 862명으로 100명이 넘게 증가했다.

다른 부분을 차치하더라도 최소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교사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대안으로 제시된 공동교육과정이나 온라인학교 같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확대가 과연 학생들 입장에서 높은 교육의 질을 보장해줄 수 있을지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