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곤·충남본부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물 쓰듯 쓴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우리는 물이라는 자원을 아낌없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이 대표적인 물 부족 국가라는 것을 감안하면 다시 생각해볼 일이다.

특히 충남은 물 부족 위기를 반복적으로 겪어온 지역이다. 국가 가뭄예경보제가 시행된 2016년 3월 이후 충남에 가뭄 경보가 발령된 누적 기간은 무려 4년이다. 여기에 도내 다목적댐은 보령댐이 유일한데, 저수용량이 1억 1700만t뿐으로 전국에서 8번째로 작다. 보령댐이 용수 공급을 책임지는 서해안 8개 시·군에 가뭄 경보가 집중 발령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현재 충남은 하루 평균 용수 사용량인 137만 1000t보다 약 70만t 많은 206만t을 공급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는 확보한 수원에 물이 충분할 때 얘기다. 가뭄 경보가 켜질 때마다 도내 공장은 가동을 멈추지 않을까 발을 동동 굴러야 한다. 심지어 이 공급가능계획은 2030년까지만 안정적이다. 이후 들어설 산업단지, 도시개발에는 새로운 물이 필요하다.

국내 용수 공급은 소수 대형시설이 책임지고 있는 구조다. 그런데 이 구조는 충남처럼 자체 수자원이 부족한 지역에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 다른 시·도의 용수를 빼오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충남과 상생 협약을 맺은 경기, 전북도 팔당호와 용담댐 등 자신의 수원을 충남까지 열어주는 데는 선을 긋는 실정이다. 개발을 위해 물을 필요로 하는 것은 전국 모든 지자체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충남은 수자원을 다양화하고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 가장 많은 용수를 공급받는 충북 대청댐에만 의존하지 말고 도내에 추가 수원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올해 환경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신규 댐 건설 수요조사에서 충남도가 아무런 요청도 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수마와 가뭄에 모두 취약한 충남이 절박하게 나서지 않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환경부는 요청이 들어온 지역 중심으로 내년 초 신규 댐 건설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물론 귀한 자원인 물을 아껴 쓰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는 민간의 영역이고 정부와 지자체는 최대한 많은 수자원을 확보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선거 당시 댐 건설을 공약에 담을지 고민하다 주민수용성을 이유로 최종 제외했다고 한다. 당선이 된 이제는 충남의 미래를 위해 마음 속 구상을 실현해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